반응형
05-19 00:0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응급환자 이송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8) 본문

생활과 안전 관련법

응급환자 이송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8)

법도사 2020. 3. 13. 08:33
반응형

***응급환자 이송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8)

 

 구급차 등의 운용자는 구급차 등이 출동할 때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응급구조사를 탑승시켜야 합니다.

 

 다만, 의사나 간호사가 탑승한 경우는 제외합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약칭 : 응급의료법)

일부개정 2019. 8. 27. [법률 제16554호, 시행 2020. 2. 28.] 보건복지부

출처 : 법제처

 

8장 응급환자 이송 등<개정 2011.8.4>

 

44(구급차 등의 운용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외에는 구급차 등을 운용할 수 없다.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2. 의료법3조에 따른 의료기관

3. 다른 법령에 따라 구급차 등을 둘 수 있는 자

4. 이 법에 따라 응급환자이송업(이하 "이송업"이라 한다)의 허가를 받은 자

5. 응급환자의 이송을 목적사업으로 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설립허가를 받은 비영리법인

의료기관은 구급차 등의 운용을 제1항제4호에 따른 이송업의 허가를 받은 자(이하 "이송업자"라 한다) 또는 제1항제5호에 따른 비영리법인에 위탁할 수 있다.

2항에 따라 구급차 등의 운용을 위탁한 의료기관과 그 위탁을 받은 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구급차 등의 위탁에 대한 기준 및 절차를 지켜야 한다.[전문개정 2011.8.4]

 

44조의2(구급차 등의 운용신고 등) 44조제1항제1호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구급차 등을 운용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구급차 등을 관계 법령에 따라 등록한 후 지체 없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그 통보 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할 때에도 같다.

44조제1항제2호부터 제5호까지에 해당하는 자가 구급차 등을 운용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구급차등을 관계 법령에 따라 등록한 후 지체 없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그 신고 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할 때에도 같다.<개정 2016.12.2>[본조신설 2013.6.4]

 

44조의3(구급차 등의 말소신고 등) 44조제1항제1호의 구급차등 운용자는 구급차등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구급차 등의 말소 통보를 하여야 한다.

1. 자동차관리법13, 항공안전법15조 등 관계 법령에 따라 구급차 등의 등록이 말소된 경우

2. 46조의2에 따른 운행연한 또는 운행거리가 초과된 경우

44조제1항제2호부터 제5호까지의 구급차 등 운용자는 구급차등이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구급차 등의 말소 신고를 하여야 한다.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말소 통보 또는 신고를 하여야 하는 자가 말소 통보 또는 신고를 하지 아니할 경우 직권으로 말소할 수 있다.[본조신설 2016.12.2]

 

45(다른 용도에의 사용 금지) 구급차 등은 다음 각 호의 용도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1. 응급환자 이송

2. 응급의료를 위한 혈액, 진단용 검사대상물 및 진료용 장비 등의 운반

3. 응급의료를 위한 응급의료종사자의 운송

4. 사고 등으로 현장에서 사망하거나 진료를 받다가 사망한 사람을 의료기관 등에 이송

5. 그 밖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용도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항 또는 제44조의22항을 위반한 구급차 등의 운용자에 대하여는 그 운용의 정지를 명하거나 구급차등의 등록기관의 장에게 해당 구급차 등의 말소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말소등록을 요청받은 등록기관의 장은 해당 구급차 등에 대한 등록을 말소하여야 한다.<개정 2013.6.4>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관할 구역에서 운용되는 구급차의 제1항에 따른 용도 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지방경찰청장 또는 경찰서장에게 구급차의 교통법규 위반사항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지방경찰청장 또는 경찰서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신설 2017.4.18>[전문개정 2011.8.4]

 

46(구급차 등의 기준) 구급차 등은 환자이송 및 응급의료를 하는 데에 적합하게 설계제작되어야 한다.

구급차의 형태, 표시, 내부장치 등에 관한 기준은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3.23, 2015.1.28, 2016.12.2>[전문개정 2011.8.4]

 

46조의2(구급차 운행연한) 구급차는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운행연한 및 운행거리를 초과하여 운행하지 못한다. 다만, 시장군수구청장은 관할 구역 내 구급차의 운행여건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성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2년의 범위에서 운행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

시장군수구청장은 구급차의 제작조립이 중단되거나 출고가 지연되는 등 부득이한 사유로 구급차의 수급이 현저히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성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6개월의 범위에서 제1항에 따른 운행연한을 초과하여 운행하게 할 수 있다.[본조신설 2016.12.2]

 

46조의3(응급의료 전용헬기)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응급의료 취약지역 응급환자의 신속한 이송 및 응급처치 등을 위하여 응급환자 항공이송을 전담하는 헬리콥터(이하 "응급의료 전용헬기"라 한다)를 운용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응급의료 전용헬기의 환자인계점에 누구든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인계점이 응급환자 이송을 위하여 사용된다는 사실과 환자인계점에서 제한되는 행위 등을 알리는 안내표지를 설치할 수 있다.<신설 2018.12.11>

응급의료 전용헬기의 장비의약품환자인계점 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8.12.11>[본조신설 2016.12.2]

 

47(구급차 등의 장비) 구급차 등에는 응급환자에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의료장비 및 구급의약품 등을 갖추어야 하며, 구급차등이 속한 기관의료기관 및 응급의료지원센터와 통화할 수 있는 통신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개정 2015.1.28>

구급차에는 응급환자의 이송 상황과 이송 중 응급처치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다음 각 호의 장비를 장착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장비 장착에 따른 정보를 수집보관하여야 하며, 보건복지부장관이 해당 정보의 제출을 요구하는 때에는 이에 따라야 한다.<신설 2015.1.28>

1. 구급차 운행기록장치 및 영상기록장치(차량 속도, 위치정보 등 구급차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충돌 등 사고발생 시 사고 상황을 영상 등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말한다)

2. 구급차 요금미터장치(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금액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하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구급차에 한정한다)

3. 개인정보 보호법2조제7호에 따른 영상정보처리기기

1항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의료장비구급의약품 및 통신장비 등의 관리와 구급차등의 관리 및 제2항에 따른 장비의 장착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15.1.28>

2항제3호에 따른 장비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구급차 이용자 등의 동의 절차를 거쳐 개인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이 법에서 정한 것 외에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 등에 관한 사항은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른다.

<신설 2015.1.28>[전문개정 2011.8.4]

 

47조의2(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의 구비 등의 의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등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자는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개정 2009.6.9, 2011.3.8, 2011.8.4, 2012.2.1, 2016.3.29, 2016.5.29, 2018.12.11>

1.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2조제3호에 따른 공공보건의료기관

2.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10조에 따른 구급대에서 운용 중인 구급차

3. 항공안전법2조제1호에 따른 항공기 중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여객 항공기 및 공항시설법2조제3호에 따른 공항

4. 철도산업발전 기본법3조제4호에 따른 철도차량 중 객차

5. 선박법1조의21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선박 중 총톤수 20톤 이상인 선박

6.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건축법2조제2항제2호에 따른 공동주택

7.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중이용시설

1항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갖춘 경우 해당 시설 등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자는 그 사실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신고한 응급장비의 양도폐기이전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신설 2016.12.2>

1항에 따라 응급장비를 설치한 자는 해당 응급장비를 매월 1회 이상 점검하여야 한다.<신설 2012.5.14, 2016.12.2>

1항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응급장비의 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2.5.14, 2016.12.2>[본조신설 2007.12.14][제목개정 2012.5.14]

 

48(응급구조사 등의 탑승의무) 구급차 등의 운용자는 구급차 등이 출동할 때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응급구조사를 탑승시켜야 한다. 다만, 의사나 간호사가 탑승한 경우는 제외한다.[전문개정 2011.8.4]

 

48조의2(수용능력 확인 등) 응급환자 등을 이송하는 자(구급차등의 운전자와 제48조에 따라 구급차 등에 동승하는 응급구조사, 의사 또는 간호사를 말한다)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이송하고자 하는 응급의료기관의 응급환자 수용 능력을 확인하고 응급환자의 상태와 이송 중 응급처치의 내용 등을 미리 통보하여야 한다.<개정 2017.10.24>

응급의료기관의 장은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응급의료지원센터를 통하여 구급차등의 운용자에게 지체 없이 통보하여야 한다.<개정 2015.1.28>[본조신설 2011.8.4]

 

49(출동 및 처치 기록 등) 응급구조사가 출동한 때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출동 사항과 처치 내용을 기록하고 이를 소속 구급차 등의 운용자와 해당 응급환자의 진료의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응급구조사를 갈음하여 의사나 간호사가 탑승한 경우에는 탑승한 의사(간호사만 탑승한 경우에는 탑승 간호사)가 출동 및 처치 기록과 관련한 응급구조사의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개정 2016.12.2>

구급차등의 운용자는 구급차 등의 운행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행기록대장을 작성하여야 한다.<신설 2016.12.2>

1항에 따른 기록을 제출받은 구급차 등의 운용자는 그 기록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응급의료지원센터에 제출하여야 한다.<개정 2015.1.28, 2016.12.2>

구급차 등의 운용자는 제1항에 따라 제출받은 기록 및 제2항에 따라 작성한 운행기록대장을, 응급환자의 진료의사가 소속된 의료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제출받은 기록을 각각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신설 2016.12.2>

출동 및 처치 기록의 내용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6.12.2>[전문개정 2011.8.4][제목개정 2016.12.2]

 

50(지도감독)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관할 구역에서 운용되는 구급차 등에 대하여 매년 한 번 이상 구급차 등의 운용상황과 실태를 점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시정명령정지명령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개정 2017.10.24>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관할 구역 내에 있는 제47조의21항 각 호의 시설 등에 대하여 매년 한 번 이상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의 구비현황과 관리실태를 점검하여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시정명령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신설 2017.10.24>[전문개정 2011.8.4]

 

51(이송업의 허가 등) 이송업을 하려는 자는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등을 갖추어 관할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둘 이상의 시도에서 영업을 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시도별로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개정 2013.3.23>

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허가를 하는 경우에는 시설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영업지역을 제한하여 허가할 수 있다.

이송업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관할 시도지사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도지사는 제3항에 따른 변경허가의 신청을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변경허가 여부를 신청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신설 2018.12.11>

도지사는 제4항에서 정한 기간 내에 변경허가 여부 또는 민원 처리 관련 법령에 따른 처리기간의 연장 여부를 신청인에게 통지하지 아니하면 그 기간(민원 처리 관련 법령에 따라 처리기간이 연장 또는 재연장된 경우에는 해당 처리기간을 말한다)이 끝난 날의 다음 날에 변경허가를 한 것으로 본다.<신설 2018.12.11>

이송업자가 제3항의 사항 외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개정 2018.12.11>

이송업자는 제1항에 따른 시설 등의 기준을 지켜야 한다.<개정 2018.12.11>[전문개정 2011.8.4]

 

52(지도의사) 구급차 등의 운용자(44조제1항제2호에 따른 의료기관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는 응급환자를 이송하기 위하여 구급차등을 사용하는 경우 상담구조이송 및 응급처치를 지도받기 위하여 지도의사를 두거나 응급의료지원센터 또는 응급의료기관의 의사를 지도의사로 위촉하여야 한다.<개정 2015.1.28>

구급차 등의 운용자에 따른 지도의사의 수와 업무 및 선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1.8.4]

 

53(휴업 등의 신고) 이송업자는 이송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폐업 또는 재개업하려는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11.8.4]

 

54(영업의 승계)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이송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

1. 이송업자가 사망한 경우 그 상속인

2. 이송업자가 그 사업을 양도한 경우 그 양수인

3. 법인인 이송업자가 합병한 경우 합병 후 존속하는 법인이나 합병으로 설립되는 법인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절차에 따라 영업시설의 전부를 인수한 자는 그 이송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

<개정 2016.12.27>

1. 민사집행법에 따른 강제경매

2.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환가

3. 국세징수법, 관세법또는 지방세징수법에 따른 압류재산의 매각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절차

1항이나 제2항에 따라 이송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60일 이내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11.8.4]

 

54조의2(유인알선 등 금지) 44조제1항에 따른 구급차등의 운용자는 영리를 목적으로 응급환자를 특정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에게 이송 또는 소개알선하거나 그 밖에 유인하거나 사주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전문개정 2011.8.4]

 

(출처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19. 8. 27. [법률 제16554호, 시행 2020. 2. 28.] 보건복지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8장 응급환자 이송 등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코로나19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최상의 찬사를 올립니다!!! 존경합니다!!! 거룩하십니다!!! 분명코 님들의 빛나는 헌신으로 인해 코로나19는 곧 대한민국에서 사라질 것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