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6-18 00:04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본문

법 일반 이야기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법도사 2019. 1. 13. 23:01
반응형

 우리 소상인들이 꼭 알아두어야 할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시행령의  조문 중, 법의 적용범위와 대항력, 소액보증금 관련 부분만 옮깁니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약칭 : 상가임대차법 )

일부개정 2018. 10. 16. [법률 제15791, 시행 2018. 10. 16.] 법무부

출처 : 법제처

 

1(목적) 이 법은 상가건물 임대차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하여 국민 경제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한다.[전문개정 2009.1.30]

 

2(적용범위) 이 법은 상가건물(3조제1항에 따른 사업자등록의 대상이 되는 건물을 말한다)의 임대차(임대차 목적물의 주된 부분을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증금액을 초과하는 임대차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항 단서에 따른 보증금액을 정할 때에는 해당 지역의 경제 여건 및 임대차 목적물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구분하여 규정하되, 보증금 외에 차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차임액에 은행법에 따른 은행의 대출금리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을 곱하여 환산한 금액을 포함하여야 한다.<개정 2010.5.17>

1항 단서에도 불구하고 제3, 10조제1, 2, 3항 본문, 10조의2부터 제10조의8까지의 규정 및 제19조는 제1항 단서에 따른 보증금액을 초과하는 임대차에 대하여도 적용한다.<신설 2013.8.13, 2015.5.13>[전문개정 2009.1.30]

 

3(대항력 등)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건물의 인도와 부가가치세법8, 소득세법168조 또는 법인세법111조에 따른 사업자등록을 신청하면 그 다음 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개정 2013.6.7>

임차건물의 양수인(그 밖에 임대할 권리를 승계한 자를 포함한다)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본다.

이 법에 따라 임대차의 목적이 된 건물이 매매 또는 경매의 목적물이 된 경우에는 민법575조제13항 및 제578조를 준용한다.

3항의 경우에는 민법536조를 준용한다.[전문개정 2009.1.30]


 14(보증금 중 일정액의 보호) 임차인은 보증금 중 일정액을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권리가 있다. 이 경우 임차인은 건물에 대한 경매신청의 등기 전에 제3조제1항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1항의 경우에 제5조제4항부터 제6항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1항에 따라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 및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와 기준은 임대건물가액(임대인 소유의 대지가액을 포함한다)2분의 1 범위에서 해당 지역의 경제 여건, 보증금 및 차임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13.8.13>[전문개정 2009.1.30]


20(상가건물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상가건물 임대차와 관련된 분쟁을 심의조정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법률구조법8조에 따른 대한법률구조공단의 지부에 상가건물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이하 "조정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 및 특별자치도는 그 지방자치단체의 실정을 고려하여 조정위원회를 둘 수 있다.

조정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조정한다.

1. 차임 또는 보증금의 증감에 관한 분쟁

2. 임대차 기간에 관한 분쟁

3. 보증금 또는 임차상가건물의 반환에 관한 분쟁

4. 임차상가건물의 유지수선 의무에 관한 분쟁

5. 권리금에 관한 분쟁

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가건물 임대차에 관한 분쟁

조정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조정위원회에 사무국을 두고, 사무국의 조직 및 인력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사무국의 조정위원회 업무담당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14조에 따른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사무국의 업무를 제외하고 다른 직위의 업무를 겸직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조신설 2018.10.16]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일부개정 2018. 1. 26. [대통령령 제28611, 시행 2018. 1. 26.] 법무부

출처 : 법제처

 

1(목적) 이 영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개정 2008.8.21, 2010.7.21>

 

2(적용범위) 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하 ""이라 한다) 2조제1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증금액"이라 함은 다음 각호의 구분에 의한 금액을 말한다.

<개정 2008.8.21, 2010.7.21, 2013.12.30, 2018.1.26>

1. 서울특별시 : 61천만원

2.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서울특별시는 제외한다) 및 부산광역시: 5억원

3. 광역시(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에 포함된 지역과 군지역, 부산광역시는 제외한다), 세종특별자치시, 파주시, 화성시, 안산시, 용인시, 김포시 및 광주시: 39천만원

4. 그 밖의 지역 : 27천만원

법 제2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보증금 외에 차임이 있는 경우의 차임액은 월 단위의 차임액으로 한다.

법 제2조제2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이라 함은 1분의 100을 말한다.

<개정 2010.7.21>

 

6(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의 범위) 법 제14조의 규정에 의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은 보증금과 차임이 있는 경우 법 제2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환산한 금액의 합계가 다음 각호의 구분에 의한 금액 이하인 임차인으로 한다.<개정 2008.8.21, 2010.7.21, 2013.12.30>

1. 서울특별시 : 6500만원

2.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서울특별시는 제외한다): 5500만원

3. 광역시(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에 포함된 지역과 군지역은 제외한다), 안산시, 용인시, 김포시 및 광주시: 38백만원

4. 그 밖의 지역 : 3천만원

 

7(우선변제를 받을 보증금의 범위 등) 법 제14조의 규정에 의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보증금중 일정액의 범위는 다음 각호의 구분에 의한 금액 이하로 한다.

<개정 2008.8.21, 2010.7.21, 2013.12.30>

1. 서울특별시 : 2200만원

2.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서울특별시는 제외한다): 1900만원

3. 광역시(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에 포함된 지역과 군지역은 제외한다), 안산시, 용인시, 김포시 및 광주시: 1300만원

4. 그 밖의 지역 : 1천만원

임차인의 보증금중 일정액이 상가건물의 가액의 2분의 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가건물의 가액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에 한하여 우선변제권이 있다.<개정 2013.12.30>

하나의 상가건물에 임차인이 2인 이상이고, 그 각 보증금중 일정액의 합산액이 상가건물의 가액의 2분의 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각 보증금중 일정액의 합산액에 대한 각 임차인의 보증금중 일정액의 비율로 그 상가건물의 가액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분할한 금액을 각 임차인의 보증금중 일정액으로 본다.<개정 2013.12.30>(출처 : 대법원사이트)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는 위 규정 말고도 꼭 알아두어야 할 규정이 더 있습니다.

대법원사이트나 법제처사이트를 이용하여 법과 시행령을 꼭 한법 읽어 보세요.

다행히 법이 그리 길지 않아요. 그리고 옛날에 만들어진 법들보다는 읽기가 비교적 수월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