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보칙
- 직업선택의 자유
- 평등의 원칙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자기관련성
- 평등원칙
- 목적의 정당성
- 과잉금지의 원칙
- 평등권
- 방법의 적절성
- 벌칙
- 산림자원법
- 법익의 균형성
- 민법 제103조
- 재산권
- 권리보호의 이익
- 과잉금지원칙
- 재판의 전제성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죄형법정주의
- 제척기간
- 피해의 최소성
- 불법행위
- 침해의 최소성
- 행복추구권
- 수산업협동조합법
- 공권력의 행사
- 과태료
- 양벌규정
- 신의칙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 의무 - 공직자윤리법(1) 본문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 의무 - 공직자윤리법(1)
공직자윤리법
타법개정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시행 2017. 7. 26.] 인사혁신처
출처 : 법제처
제1장 총칙<개정 2009.2.3>
제1조(목적) 이 법은 공직자 및 공직후보자의 재산등록, 등록재산 공개 및 재산형성과정 소명과 공직을 이용한 재산취득의 규제, 공직자의 선물신고 및 주식백지신탁, 퇴직공직자의 취업제한 및 행위제한 등을 규정함으로써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 증식을 방지하고, 공무집행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등 공익과 사익의 이해충돌을 방지하여 국민에 대한 봉사자로서 가져야 할 공직자의 윤리를 확립함을 목적으로 한다.<개정 2011.7.29>[전문개정 2009.2.3]
제2조(생활보장 등) 국가는 공직자가 공직에 헌신할 수 있도록 공직자의 생활을 보장하고, 공직윤리의 확립에 노력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09.2.3]
제2조의2(이해충돌 방지 의무) 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공직자가 수행하는 직무가 공직자의 재산상 이해와 관련되어 공정한 직무수행이 어려운 상황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공직자는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가 자신의 재산상 이해와 관련되어 공정한 직무수행이 어려운 상황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직무수행의 적정성을 확보하여 공익을 우선으로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③ 공직자는 공직을 이용하여 사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개인이나 기관ㆍ단체에 부정한 특혜를 주어서는 아니 되며, 재직 중 취득한 정보를 부당하게 사적으로 이용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부당하게 사용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신설 2011.7.29>
④ 퇴직공직자는 재직 중인 공직자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신설 2011.7.29>[전문개정 2009.2.3]
(출처 : 공직자윤리법 타법개정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시행 2017. 7. 26.] 인사혁신처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공직자윤리법 ‘제1장 총칙’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헌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매각 또는 신탁 - 공직자윤리법(3) (0) | 2019.10.11 |
---|---|
공직자의 재산등록 및 공개 - 공직자윤리법(2) (0) | 2019.10.11 |
세금계산서의 부실기재에 대한 제재로서 매입세액의 공제를 허용하지 아니하는 것이 과잉금지의 원칙에 반하여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 아닌가요? - 判例 (0) | 2019.10.10 |
지적측량 업무를 비영리법인만 대행할 수 있도록 규정한 지적법 제41조제1항은 위헌 아닌가요? - 判例 (0) | 2019.10.09 |
상속재산에 대한 취득세를 부과함에 있어서, 상속채무초과상태에 있는 자와 그렇지 아니한 자를 구별하지 아니하는 구 지방세법(2000. 12. 29. 법률 제63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0조가 평등.. (0) | 2019.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