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과잉금지원칙
- 공권력의 행사
- 신의칙
- 과태료
- 평등권
- 자기관련성
- 평등의 원칙
- 제척기간
- 목적의 정당성
- 재판의 전제성
- 행복추구권
- 재산권
- 법익의 균형성
- 피해의 최소성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침해의 최소성
- 산림자원법
- 방법의 적절성
- 수산업협동조합법
- 양벌규정
- 과잉금지의 원칙
- 죄형법정주의
- 불법행위
- 직업선택의 자유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권리보호의 이익
- 벌칙
- 민법 제103조
- 보칙
- 평등원칙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의 요건은 무엇인가요?(判例) 본문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의 요건은 무엇인가요?(判例)
대법원 2001. 1. 16. 선고 2000다51872 판결
[소유권확인][공2001.3.1.(125),449]
【판시사항】
[1]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의 요건
[2] 미완성 상태이지만 독립된 건물로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지면 된다.
[2] 미완성 상태이지만 독립된 건물로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99조제1항 [2] 민법 제99조제1항
【참조판례】
[1][2] 대법원 1977. 4. 26. 선고 76다1677 판결 대법원 1986. 11. 11. 선고 86누173 판결(공1987, 35),
대법원 1986. 11. 11. 선고 86누173 판결(공1987, 35)
대법원 1996. 6. 14. 선고 94다53006 판결(공1996하, 2144)
【전 문】
【원고,피상고인】 ○○종합건설 주식회사
【피고,상고인】 피고 1 외 1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00. 8. 23. 선고 2000나972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원심은, 그 채용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공작물은 원고가 그 부지인 토지를 경락할 당시 지하 1, 2층, 지상 1층의 콘크리트 골조 및 천장공사, 지하 1, 2층에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공사만이 되어 있었고, 주벽은 설치되지 아니하였으며, 공사 진척도는 약 20 내지 30%에 불과하였던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공작물을 독립된 건물로 보기는 어렵고 토지에 부합되어 토지와 함께 경락인을 거쳐 원고의 소유가 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지면 된다고 할 것인바(대법원 1996. 6. 14. 선고 94다53006 판결), 원심이 배척하지 아니한 갑 제8호증의 1 내지 24, 을 제11호증의 1 내지 19(각 사진)의 각 영상과 제1심 증인 소외인의 증언을 종합하면 이 사건 공작물은 위 경락 당시 지하 1, 2층 및 지상 1층까지의 콘크리트 골조 및 기둥, 천장(슬라브)공사가 완료되어 있고, 지상 1층의 전면(남쪽)에서 보아 좌측(서쪽) 벽과 뒷면(북쪽) 벽 그리고 내부 엘리베이터 벽체가 완성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공작물은 최소한의 지붕과 기둥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졌다고 할 것이어서 미완성 상태의 독립된 건물(원래 지상 7층 건물로 설계되어 있으나, 지상 1층만으로도 구분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구조임이 분명하다)로서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공작물에는 주벽이 완성되어 있지 아니하였고 공사진척도가 20-30%에 불과하여 독립된 건물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위와 같이 판단한 원심은,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는 한편, 독립된 건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을 범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01. 1. 16. 선고 2000다51872 판결[소유권확인] > 종합법률정보 판례)
이상 대법원 2001. 1. 16. 선고 2000다51872 판결[소유권확인]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합물과 종물에 관한 판례를 소개해 드립니다(判例). (0) | 2020.01.29 |
---|---|
저당부동산의 종물인지 여부의 판단 기준은 어떠한가요?(判例) (0) | 2020.01.29 |
건축허가서의 사법상 효력은 어떠한가요?(判例) (0) | 2020.01.29 |
경작권 없이 경작한 입도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나요?(判例) (0) | 2020.01.29 |
종중이 종중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종원의 모든 권리를 장기간 동안 정지시킨 처분의 효력은 어떠한가요?(判例) (0) |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