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보칙
- 자기관련성
- 산림자원법
- 평등원칙
- 권리보호의 이익
- 민법 제103조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제척기간
- 죄형법정주의
- 평등의 원칙
- 과태료
- 양벌규정
- 법익의 균형성
- 벌칙
- 과잉금지의 원칙
- 행복추구권
- 침해의 최소성
- 불법행위
- 과잉금지원칙
- 피해의 최소성
- 직업선택의 자유
- 방법의 적절성
- 재산권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신의칙
- 재판의 전제성
- 평등권
- 공권력의 행사
- 목적의 정당성
- 수산업협동조합법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제3자에 의한 사기행위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계약을 취소하지 않고 제3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나요?(判例) 본문
제3자에 의한 사기행위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계약을 취소하지 않고 제3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나요?(判例)
법도사 2020. 2. 8. 10:45***제3자에 의한 사기행위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계약을 취소하지 않고 제3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나요?(判例)
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다55829 판결
[매매대금등][공1998.4.15.(56),993]
【판시사항】
제3자에 의한 사기행위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계약을 취소하지 않고 제3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제3자의 사기행위로 인하여 피해자가 주택건설사와 사이에 주택에 관한 분양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하더라도 제3자의 사기행위 자체가 불법행위를 구성하는 이상, 제3자로서는 그 불법행위로 인하여 피해자가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제3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하기 위하여 반드시 그 분양계약을 취소할 필요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10조제2항, 제75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7. 1. 25. 선고 76다2223 판결(공1977, 9892)
대법원 1995. 12. 22. 선고 94다21078 판결(공1996상, 466)
【전 문】
【원고,피상고인】 원고
【피고,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11. 12. 선고 96나2264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관하여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는 소외 ○○주택 주식회사(이하 ○○주택이라 한다)와 평소 금전거래를 통하여 긴밀한 관계에 있으면서 ○○주택의 자금사정이 악화된 사정이나 이 사건 빌라 부지에 관한 소유권 귀속관계 및 건축 진척 상황 등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주택이 이 사건 빌라를 건축할 능력이 없음을 알고 있으면서 이와 같은 사실을 숨긴 채 ○○주택에 대한 자신의 채권을 변제받는 방편으로 마치 이 사건 빌라가 정상적으로 건축되어 완공될 것처럼 기망하여 원고의 처인 소외 사○○에게 자신이 분양받은 빌라의 수분양권을 양수할 것을 제의하여 이에 속은 원고로부터 위 사○○을 통하여 합계 금 3억 원을 분양대금 명목으로 지급받음으로써 이를 편취하여 원고에게 동액 상당의 손해를 입혔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인정 및 판단을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논리칙, 경험칙,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법리오해, 이유불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피고의 사기행위로 인하여 원고가 ○○주택과 사이에 이 사건 빌라에 관한 분양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하더라도 피고의 위 사기행위 자체가 불법행위를 구성하는 이상, 피고로서는 그 불법행위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므로,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그 손해배상청구를 하기 위하여 반드시 위 분양계약을 취소할 필요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가 이 사건 빌라의 분양계약을 취소할 수 없어 피고에 대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소론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제2점에 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피고 사이에 피고가 ○○주택 부도 후 원고에게 금 4,000만 원을 반환함으로써 원고가 피고에 대하여 이 사건 빌라에 관한 책임을 묻지 않기로 약정하였거나 또는 약정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석명권 불행사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제3점에 관하여
원심은 원고가 1991. 6. 28. ○○주택이 제공한 소외 김○○ 소유의 제주 소재 6필지 도합 8,136㎡의 토지에 채권 최고액 금 350,000,000원으로 한 근저당권을 설정받았다가 1995. 2. 24.경 위 김○○의 요청에 따라 금 100,000,000원을 받고 위 근저당권설정계약을 해제하여 준 사실은 인정되나, 위 근저당권설정등기 당시 및 해제 당시 위 토지 6필지의 시가가 원고가 지급한 분양대금 300,000,000원을 상회하였다거나 원고가 위 김○○에게 위 근저당권을 해제하여 주면서 위 김○○으로부터 위 분양대금 300,000,000원 전액을 변제 또는 변제받기로 약속받았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고, 오히려 원고가 근저당권을 설정받은 위 토지 6필지의 공시지가는 1991년 근저당권설정등기 당시는 ㎡당 3,600원 내지 8,150원이며, 그 시가는 위 근저당권설정 당시나 해제 당시 위 6필지 전체에 대하여 금 1억 원 정도였던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에 의하여 원고의 과실로 담보가 상실·감소된 경우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인정·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법리오해, 이유불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다55829 판결[매매대금등] > 종합법률정보 판례)
이상 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다55829 판결[매매대금등]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분양광고 내용의 일반적 법적 성질은 무엇인가요?(判例) (0) | 2020.02.08 |
---|---|
아파트 분양계약자가 아파트 분양자의 신의칙상 고지의무 위반을 이유로 분양계약의 취소 없이 손해배상만을 청구할 수 있나요?(判例) (0) | 2020.02.08 |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의 성립 요건은 어떠한가요?(判例) (0) | 2020.02.08 |
사기 또는 착오를 원인으로 하여 소취하 등의 소송행위를 취소할 수 있나요?(判例) (0) | 2020.02.08 |
건물건축의 목적으로 매수한다는 정을 알면서 건축이 가능한 것처럼 가장하여 절대농지를 매도한 것이 기망행위에 해당하나요?(判例) (0) | 202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