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민법 제103조
- 양벌규정
- 침해의 최소성
- 과태료
- 산림자원법
- 제척기간
- 피해의 최소성
- 평등권
- 평등원칙
- 벌칙
- 신의칙
- 행복추구권
- 과잉금지의 원칙
- 자기관련성
- 법익의 균형성
- 불법행위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권리보호의 이익
- 보칙
- 방법의 적절성
- 재산권
- 수산업협동조합법
- 직업선택의 자유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목적의 정당성
- 평등의 원칙
- 과잉금지원칙
- 죄형법정주의
- 공권력의 행사
- 재판의 전제성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이미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변제에 관하여 일정한 사실이 부관으로 붙여진 경우, 그 부관의 법적 성질은 무엇인가요?(判例) 본문
이미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변제에 관하여 일정한 사실이 부관으로 붙여진 경우, 그 부관의 법적 성질은 무엇인가요?(判例)
법도사 2020. 2. 28. 07:28***이미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변제에 관하여 일정한 사실이 부관으로 붙여진 경우, 그 부관의 법적 성질은 무엇인가요?(判例)
대법원 2003. 8. 19. 선고 2003다24215 판결
[퇴직금등][공2003.9.15.(186),1870]
【판시사항】
[1] 부관이 붙은 법률행위에 있어서 부관이 정지조건인지 불확정기한인지를 판단하는 기준
[2] 이미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변제에 관하여 일정한 사실이 부관으로 붙여진 경우 그 부관의 법적 성질(=불확정기한)
【판결요지】
[1] 부관이 붙은 법률행위에 있어서 부관에 표시된 사실이 발생하지 아니하면 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도 된다고 보는 것이 상당한 경우에는 조건으로 보아야 하고, 표시된 사실이 발생한 때에는 물론이고 반대로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이 확정된 때에도 그 채무를 이행하여야 한다고 보는 것이 상당한 경우에는 표시된 사실의 발생 여부가 확정되는 것을 불확정기한으로 정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2] 이미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변제에 관하여 일정한 사실이 부관으로 붙여진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것은 변제기를 유예한 것으로서 그 사실이 발생한 때 또는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확정된 때에 기한이 도래한다.
【참조조문】
[1] 민법 제147조, 제152조 [2] 민법 제152조
【참조판례】
[2] 대법원 2002. 3. 29. 선고 2001다41766 판결(공2002상, 988)
【전 문】
【원고,피상고인】 원고
【피고,상고인】 파산자 동아건설산업 주식회사의 파산관재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3. 4. 2. 선고 2002나4917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부관이 붙은 법률행위에 있어서 부관에 표시된 사실이 발생하지 아니하면 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도 된다고 보는 것이 상당한 경우에는 조건으로 보아야 하고, 표시된 사실이 발생한 때에는 물론이고 반대로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이 확정된 때에도 그 채무를 이행하여야 한다고 보는 것이 상당한 경우에는 표시된 사실의 발생 여부가 확정되는 것을 불확정기한으로 정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미 부담하고 있는 채무의 변제에 관하여 일정한 사실이 부관으로 붙여진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것은 변제기를 유예한 것으로서 그 사실이 발생한 때 또는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확정된 때에 기한이 도래한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정리회사 동아건설 주식회사의 관리인 소외 1이 원고에 대하여 2000. 12. 4.부터 2000. 12. 8.까지 희망퇴직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회사정리계획 인가결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평균임금 3개월분의 퇴직위로금을 지급하겠다는 의사표시는 회사정리계획인가를 조건으로 정한 것이 아니라 불확정한 사실의 도래를 변제기로 정한 것이고, 따라서 회사정리절차가 폐지되어 정리계획인가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확정되었으므로 그 때에 기한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든 주장과 같은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피고가 부담한다.
(출처 : 대법원 2003. 8. 19. 선고 2003다24215 판결[퇴직금등] > 종합법률정보 판례)
이상 대법원 2003. 8. 19. 선고 2003다24215 판결[퇴직금등]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 매도인이 토지대금의 지급을 담보하기 위하여 토지 매수인이 그 토지상에 신축한 연립주택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후 그 일부 세대에 대하여 토지 매수인 명의로 소유권이전.. (0) | 2020.02.28 |
---|---|
계약의 당사자가 제3자에 대하여 가진 채권에 관하여 채무를 면제하는 계약도 제3자를 위한 계약에 준하여 유효한가요?(判例) (0) | 2020.02.28 |
법률행위의 부관으로서 조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判例) (0) | 2020.02.28 |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은 형성권적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으로 추정되나요?(判例) (0) | 2020.02.27 |
조건의 불성취로 의무를 면하게 될 자가 신의성실에 반하여 조건의 성취를 방해한 경우, 그 효과는 어떠한가요?(判例) (0) |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