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5-01 03:43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당사자 사이의 의사가 어느 정도 합치되어야 계약의 성립이 인정되나요?(判例) 본문

민법 간추려 보기

당사자 사이의 의사가 어느 정도 합치되어야 계약의 성립이 인정되나요?(判例)

법도사 2021. 10. 6. 17:50
반응형

***당사자 사이의 의사가 어느 정도 합치되어야 계약의 성립이 인정되나요?(判例)

 

대법원 2006. 11. 24. 선고 2005다39594 판결

[소유권이전등기][미간행]

 

판시사항

 

[1] 계약의 성립을 위한 당사자 사이의 의사의 합치의 정도

 

[2] 부동산 매매에 관한 가계약서 작성 당시 매매목적물과 매매대금 등이 특정되고 중도금 지급방법에 관한 합의가 있었다면 그 가계약서에 잔금 지급시기가 기재되지 않았고 후에 정식계약서가 작성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매매계약은 성립하였다고 본 사례

 

[3] 해약금에 관한 민법 제565조제1항의 이행을 착수할 때까지의 의미

 

[4] 매매계약 당시 매수인이 중도금 일부의 지급에 갈음하여 매도인에게 제3자에 대한 대여금채권을 양도하기로 약정하고, 그 자리에 제3자도 참석한 경우, 매수인은 매매계약과 함께 채무의 일부 이행에 착수하였으므로, 매도인은 민법 제565조제1항에 정한 해제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105[2] 민법 제105, 568[3] 민법 제565조제1[4] 민법 제565조제1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6. 8. 선고 9249447 판결(1993, 1999)

대법원 1996. 4. 26. 선고 9434432 판결(1996, 1667)

대법원 1997. 1. 24. 선고 9626176 판결(1997, 632)

대법원 2001. 3. 23. 선고 200051650 판결(2001, 966)

[3] 대법원 1993. 5. 25. 선고 931114 판결(1993, 1854)

대법원 1994. 5. 13. 선고 9356954 판결(1994, 1677)

대법원 1997. 6. 27. 선고 979369 판결(1997, 2345)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46492 판결(2003, 215)

 

전문

 

원고, 피상고인원고

 

피고, 상고인피고

 

원심판결전주지방법원 2005. 6. 16. 선고 2004464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계약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당사자 사이에 의사의 합치가 있을 것이 요구되고 이러한 의사의 합치는 당해 계약의 내용을 이루는 모든 사항에 관하여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그 본질적 사항이나 중요 사항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의사의 합치가 있거나 적어도 장래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 등에 관한 합의는 있어야 한다(대법원 2001. 3. 23. 선고 200051650 판결 참조). 한편, 매매계약은 당사자 일방이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으로 매도인이 재산권을 이전하는 것과 매수인이 그 대가로서 금원을 지급하는 것에 관하여 쌍방 당사자의 합의가 이루어짐으로써 성립하는 것이다(대법원 1996. 4. 26. 선고 943443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비록 이 사건 가계약서에 잔금 지급시기가 기재되지 않았고 후에 그 정식계약서가 작성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가계약서 작성 당시 매매계약의 중요 사항인 매매목적물과 매매대금 등이 특정되고 중도금 지급방법에 관한 합의가 있었으므로 원·피고 사이에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매매계약은 성립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계약성립에 관한 법리오해, 처분문서의 효력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매도인이 민법 제565조에 의하여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하려면 매수인이 이행에 착수할 때까지 하여야 할 것인바, 여기에서 이행에 착수한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채무의 이행행위의 일부를 하거나 또는 이행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제행위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4649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피고가 원고에게 이 사건 매매계약의 계약금 배액을 상환하고 위 매매계약을 적법히 해제하였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이 사건 매매계약 당시 원고가 중도금 일부의 지급에 갈음하여 원고의 이○○에 대한 대여원리금채권을 피고에게 양도하기로 약정함으로써 위 계약 성립과 함께 위 채권은 양도되었고, 그 채무자인 이○○도 위 계약에 참석하였기 때문에 위 채권양도의 통지도 그 자리에서 이루어졌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원고는 위 매매계약과 함께 그 채무의 일부 이행에 착수한 것이고, 따라서 계약금의 배액상환을 원인으로 한 피고의 해제 의사표시는 원고가 이미 이행에 착수한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효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계약해제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06. 11. 24. 선고 2005다39594 판결 [소유권이전등기] > 종합법률정보 판례)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