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5-01 00:02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분소유적 공유지분에 대한 입찰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정평가의 대상은 어떠한가요?(判例) 본문

민사집행법과 그 관련법

분소유적 공유지분에 대한 입찰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정평가의 대상은 어떠한가요?(判例)

법도사 2023. 1. 31. 19:40
반응형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에 대한 입찰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정평가의 대상은 어떠한가요?(判例)

 

대법원 2001. 6. 15.자 2000마2633 결정

[낙찰허가][2001.10.15.(140),2149]

 

판시사항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에 대한 입찰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정평가의 대상(=특정 구분소유 목적물)

 

결정요지

 

 1동의 건물 중 위치 및 면적이 특정되고 구조상 및 이용상 독립성이 있는 일부분씩을 2인 이상이 구분소유하기로 하는 약정을 하고 등기만은 편의상 각 구분소유의 면적에 해당하는 비율로 공유지분등기를 하여 놓은 경우 공유자들 사이에 상호 명의신탁관계에 있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해당하고, 낙찰에 의한 소유권취득은 성질상 승계취득이어서 1동의 건물 중 특정부분에 대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표상하는 공유지분을 목적으로 하는 근저당권이 설정된 후 그 근저당권의 실행에 의하여 위 공유지분을 취득한 낙찰자는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을 그대로 취득하는 것이므로, 건물에 관한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에 대한 입찰을 실시하는 집행법원으로서는 감정인에게 위 건물의 지분에 대한 평가가 아닌 특정 구분소유 목적물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하고 그 평가액을 참작하여 최저입찰가격을 정한 후 입찰을 실시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186, 262, 민사소송법 제615, 649

 

참조판례

 

대법원 1990. 6. 26. 선고 88다카14366 판결(1990, 1551)

대법원 1991. 8. 27. 선고 913703 판결(1991, 2419)

대법원 2000. 3. 14. 선고 9846778 판결(2000, 956)

 

전문

 

재항고인재항고인

 

원심결정서울지법 2000. 3. 20.2000452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재항고비용은 재항고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1동의 건물 중 위치 및 면적이 특정되고 구조상 및 이용상 독립성이 있는 일부분씩을 2인 이상이 구분소유하기로 하는 약정을 하고 등기만은 편의상 각 구분소유의 면적에 해당하는 비율로 공유지분등기를 하여 놓은 경우 공유자들 사이에 상호 명의신탁관계에 있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해당하고, 낙찰에 의한 소유권취득은 성질상 승계취득이어서 1동의 건물 중 특정부분에 대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표상하는 공유지분을 목적으로 하는 근저당권이 설정된 후 그 근저당권의 실행에 의하여 위 공유지분을 취득한 낙찰자는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을 그대로 취득하는 것이므로(대법원 1991. 8. 27. 선고 913703 판결 참조) 건물에 관한 구분소유적 공유지분에 대한 입찰을 실시하는 집행법원으로서는 감정인에게 위 건물의 지분에 대한 평가가 아닌 특정 구분소유 목적물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하고 그 평가액을 참작하여 최저입찰가격을 정한 후 입찰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결정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기록에 의하여 이 사건 건물은 지하 2, 지상 7층의 건물(내역은 지하2758.29, 지하11,366.44, 1923.84, 2층 내지 7층 각 1,144, 옥탑 140.55이며, 옥탑을 제외한 면적의 합계는 9,912.57이다)인데, 재항고외 1은 위 건물의 1층 내지 3층 전체와 7층의 1/2, 재항고외 24층 내지 6층 전체와 7층의 1/2을 특정하여 소유(지하 1층은 기계실, 지하 2층은 주차장이다)하면서 등기만은 전체 건물 중 각 4,956.285/9,912.57의 공유지분등기를 경료하여 놓았고, 이 사건 압류채권자인 주식회사 제일은행은 재항고외 1의 특정소유인 위 건물 1층 부분 923.84를 담보로 제공받으면서 재항고외 1의 공유지분 중 위 1층 부분을 표상하는 공유지분 923.84/9,912.57에 관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하였다가 그 근저당권의 실행을 위하여 이 사건 입찰을 신청한 사실, 집행법원은 이에 따라 감정인에게 위 건물 1층을 감정평가하게 하는 한편 입찰대상 물건의 현황을 1층이라고 표시하여 입찰공고를 하여 입찰을 실시한 사실, 재항고인이 위 건물의 재항고외 1 공유지분 중 923.84/9,912.57에 관하여 경료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 역시 재항고외 1의 특정 소유부분인 1층 부분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사실관계에 기초하여 재항고외 1과 재항고외 2의 위 건물에 대한 소유관계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이고, 이 사건 입찰대상물건은 위 건물 중 재항고외 1의 특정소유부분인 위 건물 1층 부분이므로 집행법원이 이 사건 입찰대상 물건을 평가하게 함에 있어서 재항고외 1의 위 건물에 대한 소유관계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임을 전제로 그 특정소유부분을 평가하게 하고, 그를 기초로 최저입찰가격을 결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집행법원의 그와 같은 조치로 인하여 재항고인의 권리가 침해될 염려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재항고이유에서 지적하는 것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재항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고, 재항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유지담, 배기원(주심), 박재윤

 

(출처 : 대법원 2001. 6. 15.자 2000마2633 결정 [낙찰허가] > 종합법률정보 판례)

 

 Don't worry!!! Be happy!!!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