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권력의 행사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불법행위
- 양벌규정
- 피해의 최소성
- 보칙
- 방법의 적절성
- 평등의 원칙
- 직업선택의 자유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과태료
- 행복추구권
- 죄형법정주의
- 침해의 최소성
- 자기관련성
- 목적의 정당성
- 과잉금지의 원칙
- 권리보호의 이익
- 제척기간
- 민법 제103조
- 평등권
- 수산업협동조합법
- 벌칙
- 재판의 전제성
- 법익의 균형성
- 재산권
- 산림자원법
- 평등원칙
- 신의칙
- 과잉금지원칙
- Today
- Total
목록국가보안법의 해석·적용상 北韓을 反國家團體로 보고 이에 동조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하는 것이 위헌인지의 여부 (2)
쉬운 우리 법
***국가보안법의 해석·적용상 北韓을 反國家團體로 보고 이에 동조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하는 것이 위헌인가요?(判例) 國家保安法 違憲訴願 {1997.1.16. 92헌바6·26, 93헌바34·35·36(병합) 전원재판부} 【판시사항】 1. 改正節次로 인한 國家保安法의 위헌 여부 2. 국가보안법의 해석·적용상 北韓을 反國家團體로 보고 이에 동조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하는 것이 위헌인지의 여부 3. 1991. 5. 31. 개정 전의 국가보안법(1980. 12. 31. 법률 제3318호로 전문개정된 것으로서, 1991. 5. 31. 법률 제4373호로 일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국가보안법”이라 한다.) 제7조제1항·제3항·제5항 및 제8조제1항의 위헌 여부 4. 1991. 5. 31. 개정 후의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의 해석·적용상 北韓을 反國家團體로 보고 이에 동조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하는 것이 위헌인가요?(判例) 國家保安法 違憲訴願 (1997.1.16. 92헌바6ㆍ26, 93헌바34ㆍ35ㆍ36(병합) 전원재판부) 【판시사항】 1. 改正節次로 인한 國家保安法의 위헌 여부 2. 국가보안법의 해석·적용상 北韓을 反國家團體로 보고 이에 동조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하는 것이 위헌인지의 여부 3. 1991. 5. 31. 개정 전의 국가보안법 (1980. 12. 31. 법률 제3318호로 전문개정된 것으로서, 1991. 5. 31. 법률 제4373호로 일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국가보안법”이라 한다.) 제7조제1항·제3항·제5항 및 제8조제1항의 위헌 여부 4. 1991. 5. 31. 개정 후의 국가보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