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과태료
- 민법 제103조
- 행복추구권
- 피해의 최소성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권리보호의 이익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직업선택의 자유
- 과잉금지의 원칙
- 불법행위
- 법익의 균형성
- 수산업협동조합법
- 평등원칙
- 과잉금지원칙
- 재판의 전제성
- 보칙
- 신의칙
- 침해의 최소성
- 공권력의 행사
- 평등권
- 재산권
- 양벌규정
- 방법의 적절성
- 죄형법정주의
- 벌칙
- 자기관련성
- 제척기간
- 평등의 원칙
- 목적의 정당성
- 산림자원법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유언자의 것임이 인정되지 않는 무인이 찍혀 있고, 유언증서 자체에 유언자의 주소가 자서되어 있지 아니한 유언증서가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의 효력이 인정되나요? - 判例 본문
유언자의 것임이 인정되지 않는 무인이 찍혀 있고, 유언증서 자체에 유언자의 주소가 자서되어 있지 아니한 유언증서가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의 효력이 인정되나요? - 判例
법도사 2019. 6. 25. 17:08***유언자의 것임이 인정되지 않는 무인이 찍혀 있고, 유언증서 자체에 유언자의 주소가 자서되어 있지 아니한 유언증서가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의 효력이 인정되나요? - 判例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6다12848 판결
[소유권이전등기등][미간행]
【판시사항】
[1] 유언자의 날인이 없는 유언장이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 효력이 있는지 여부(소극)
[2] 유언자의 것임이 인정되지 않는 무인이 찍혀 있고, 유언증서 자체에 유언자의 주소가 자서(자서)되어 있지 아니한 유언증서에 대하여,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의 효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1066조 [2] 민법 제106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8. 5. 29. 선고 97다38503 판결(공1998하, 1751)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38510 판결(공1998하, 1866)
대법원 1999. 9. 3. 선고 98다17800 판결(공1999하, 2015)
대법원 2004. 11. 11. 선고 2004다35533 판결
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다57899 판결(공2006상, 586)
대법원 2006. 9. 8. 선고 2006다25103, 25110 판결
【전 문】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피고 1외 5인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6. 1. 19. 선고 2005나502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민법 제1065조 내지 제1070조가 유언의 방식을 엄격하게 규정한 것은 유언자의 진의를 명확히 하고 그로 인한 법적 분쟁과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므로, 법정된 요건과 방식에 어긋난 유언은 그것이 유언자의 진정한 의사에 합치하더라도 무효라고 하지 않을 수 없고(대법원 1999. 9. 3. 선고 98다17800 판결, 대법원 2004. 11. 11. 선고 2004다35533 판결, 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다57899 판결 등 참조),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그 전문과 연월일, 주소, 성명을 자서(자서)하고 날인하여야 하는바(민법 제1066조 제1항), 유언자의 주소는 반드시 유언 전문과 동일한 지편에 기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유언증서로서 일체성이 인정되는 이상 그 전문을 담은 봉투에 기재하더라도 무방하며, 그 날인은 무인에 의한 경우에도 유효하다고 할 것이나(대법원 1998. 5. 29. 선고 97다38503 판결,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38510 판결 등 참조), 유언자의 날인이 없는 유언장은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의 효력이 없다(대법원 2006. 9. 8. 선고 2006다25103, 25110 판결 참조).
원심은, 이 사건 유언증서에는 소외인의 자필에 의한 유언의 전문, 연월일 및 성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원심 판시 증거만으로는 이 사건 유언증서의 소외인 성명 아래에 찍혀 있는 무인이 소외인의 것임을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며, 또한 이 사건 유언증서 자체에는 소외인의 주소가 자서되어 있지 아니하고, 원심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소외인의 주소, 전화번호, 이름이 기재된 흰색의 편지지가 오려 붙여져 있는 이 사건 봉투가 이 사건 유언증서의 일부라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이 사건 유언증서는 민법이 정하는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의 요건과 방식을 갖추지 못한 것이어서 그에 따른 유언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유언증서에 의한 소외인의 유언이 유효함을 전제로 하는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이 사건 청구를 배척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유심증주의, 사문서의 진정추정,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의 방식과 효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이상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6다12848 판결[소유권이전등기등]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채권을 추심하여 변제받는 것이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행위에 해당하나요? - 判例 (0) | 2019.06.26 |
---|---|
상속인들이 피상속인 소유였던 주권에 대하여 주권반환청구의 소를 제기한 것이 상속인의 법정 단순승인사유에 해당하나요? - 判例 (0) | 2019.06.26 |
유언자의 날인이 없는 유언장이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으로서 효력이 있나요? - 判例 (0) | 2019.06.24 |
구수증서의 방식으로 유언을 한 경우, 유언이 있은 날로부터 7일이 경과한 후에 제기된 검인신청은 적법한가요? - 判例 (0) | 2019.06.24 |
민법 제1091조, 제1092조 소정의 검인·개봉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유언증서의 효력은 어떠한가요? - 判例 (0) | 2019.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