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과태료
- 산림자원법
- 신의칙
- 평등권
- 평등의 원칙
- 피해의 최소성
- 보칙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자기관련성
- 민법 제103조
- 법익의 균형성
- 침해의 최소성
- 공권력의 행사
- 벌칙
- 죄형법정주의
- 행복추구권
- 제척기간
- 재산권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수산업협동조합법
- 방법의 적절성
- 불법행위
- 권리보호의 이익
- 양벌규정
- 평등원칙
- 목적의 정당성
- 재판의 전제성
- 직업선택의 자유
- 과잉금지원칙
- 과잉금지의 원칙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미성년자가 신용카드거래 후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취소한 경우의 법률관계는 어떠한가요?(判例) 본문
***미성년자가 신용카드거래 후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취소한 경우의 법률관계는 어떠한가요?(判例)
대법원 2005. 4. 15. 선고 2003다60297, 60303, 60310, 60327 판결
[채무부존재확인][공2005.5.15.(226),735]
【판시사항】
미성년자가 신용카드거래 후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취소한 경우의 법률관계
【판결요지】
미성년자가 신용카드발행인과 사이에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체결하여 신용카드거래를 하다가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취소하는 경우 미성년자는 그 행위로 인하여 받은 이익이 현존하는 한도에서 상환할 책임이 있는바, 신용카드 이용계약이 취소됨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회원과 해당 가맹점 사이에 체결된 개별적인 매매계약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용카드 이용계약취소와 무관하게 유효하게 존속한다 할 것이고, 신용카드발행인이 가맹점들에 대하여 그 신용카드사용대금을 지급한 것은 신용카드 이용계약과는 별개로 신용카드발행인과 가맹점 사이에 체결된 가맹점 계약에 따른 것으로서 유효하므로, 신용카드발행인의 가맹점에 대한 신용카드이용대금의 지급으로써 신용카드회원은 자신의 가맹점에 대한 매매대금 지급채무를 법률상 원인 없이 면제받는 이익을 얻었으며, 이러한 이익은 금전상의 이득으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조문】
민법 제141조, 제741조, 제748조
【전 문】
【원고(반소피고),상고인】 원고(반소피고) 1 외 16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성철)
【피고(반소원고),피상고인】 삼성카드 주식회사 외 3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화우 담당변호사 양삼승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3. 10. 8. 선고 2003나12634, 21508, 39677, 40769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반소피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미성년자가 신용카드발행인과 사이에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체결하여 신용카드거래를 하다가 신용카드 이용계약을 취소하는 경우 미성년자는 그 행위로 인하여 받은 이익이 현존하는 한도에서 상환할 책임이 있는바( 민법 제141조), 신용카드 이용계약이 취소됨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회원과 해당 가맹점 사이에 체결된 개별적인 매매계약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용카드 이용계약취소와 무관하게 유효하게 존속한다 할 것이고, 신용카드발행인이 가맹점들에 대하여 그 신용카드사용대금을 지급한 것은 신용카드 이용계약과는 별개로 신용카드발행인과 가맹점 사이에 체결된 가맹점 계약에 따른 것으로서 유효하므로, 신용카드발행인의 가맹점에 대한 신용카드이용대금의 지급으로써 신용카드회원은 자신의 가맹점에 대한 매매대금 지급채무를 법률상 원인 없이 면제받는 이익을 얻었으며, 이러한 이익은 금전상의 이득으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신용카드 이용계약이 취소됨으로써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들은 신용카드발행인인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고 한다)들이 가맹점에 대신 지급하였던 물품, 용역대금채무를 면제받았으므로 피고들에게 위 물품, 용역대금 상당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고, 원고들이 가맹점과의 매매계약을 통하여 취득한 물품과 제공받은 용역이 부당이득으로 반환의 대상이 된다는 원고들의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위의 법리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주장과 같은 부당이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이상 대법원 2005. 4. 15. 선고 2003다60297, 60303, 60310, 60327 판결[채무부존재확인]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 제48조를 해석해 주세요!!!(判例) (0) | 2020.01.04 |
---|---|
민법상의 청산절차에 관한 규정에 반하는 잔여재산 처분행위의 효력은 어떠한가요?(判例) (0) | 2020.01.04 |
사단법인과 재단법인의 정관변경 (0) | 2020.01.01 |
민법상 재단법인의 정관변경 결의의 하자를 이유로 정관변경 인가처분의 취소·무효 확인을 소구할 수 있나요?(判例) (0) | 2020.01.01 |
행위능력을 민법에서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나요?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