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불법행위
- 평등원칙
- 수산업협동조합법
- 양벌규정
- 행복추구권
- 방법의 적절성
- 피해의 최소성
- 과태료
- 법익의 균형성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목적의 정당성
- 죄형법정주의
- 보칙
- 직업선택의 자유
- 평등의 원칙
- 과잉금지의 원칙
- 민법 제103조
- 제척기간
- 과잉금지원칙
- 공권력의 행사
- 산림자원법
- 벌칙
- 평등권
- 재판의 전제성
- 신의칙
- 권리보호의 이익
- 침해의 최소성
- 자기관련성
- 재산권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법률이 자치적인 사항을 공법적 단체의 정관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경우 헌법 제75조, 제95조의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이 적용되나요?(判例) 본문
법률이 자치적인 사항을 공법적 단체의 정관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경우 헌법 제75조, 제95조의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이 적용되나요?(判例)
법도사 2021. 9. 24. 00:54***법률이 자치적인 사항을 공법적 단체의 정관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경우 헌법 제75조, 제95조의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이 적용되나요?(判例)
농업기반공사및농지기금관리법 부칙 제6조 단서 위헌확인
(2001. 4. 26. 2000헌마122 전원재판부)
【판시사항】
1. 법률조항이 “정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주장취지의 관점에서 그 법률조항을 다투는 헌법소원의 직접성 요건이 구비되었다고 본 사례
2. 법률이 자치적인 사항을 공법적 단체의 정관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경우 헌법 제75조, 제95조의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이 적용되는 여부(소극)
3. 농업기반공사및농지관리기금법 부칙 제6조가 구 농지개량조합법에 따른 농지개량조합장들의 임기를 종료시키면서 단서에서 ‘농업기반공사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예우를 하도록 규정한 것이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 혹은 의회유보의 원칙에 위배하여 청구인들의 직업선택의 자유 등을 침해하는지 여부(소극)
【결정요지】
1. 통상 법률조항이 정관에 위임하고 있는 경우 그 조항 자체가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없지만, 이 사건에서는 청구인이 그 조항의 규정 형식 자체를 문제삼고 있고, 입법부가 정관에 기본권 관련 사항을 위임할 수 있는지는 특수한 헌법적 성격을 가지므로, 헌법소원의 직접성 요건을 인정함이 상당하다.
2. 헌법 제75조, 제95조가 정하는 포괄적인 위임입법의 금지는, 그 문리해석상 정관에 위임한 경우까지 그 적용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고, 또 권력분립의 원칙을 침해할 우려가 없다는 점 등을 볼 때, 법률이 정관에 자치법적 사항을 위임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3. 농업기반공사및농지관리기금법 부칙 제6조 단서는 농업기반공사의 자치적 입법사항을 정관에 위임한 것으로서 이를 행정부의 법규명령에 위임한 것과 같이 볼 수 없어, 헌법상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며, 이미 조합장 등의 기존 임기가 종료된 것을 전제로 종전의 기득권 보호차원에서 필요한 예우를 규정한 것이므로 직업선택의 자유의 기본적이거나 본질적인 사항이라고 볼 수 없어 반드시 국회가 스스로 정할 사항은 아니므로 법률유보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고, 달리 청구인들의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 볼만한 사정이 없다.
이상 농업기반공사및농지기금관리법 부칙 제6조 단서 위헌확인(2001. 4. 26. 2000헌마122 전원재판부) 판시사항과 결정요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헌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이 입법사항을 고시와 같은 행정규칙의 형식으로 위임하는 것이 허용되나요?(判例) (0) | 2021.09.24 |
---|---|
조례(條例)가 헌법소원의 대상이 될 수 있나요?(判例) (0) | 2021.09.24 |
종전에 감면되어 오던 양도소득세에 대하여, 농어촌특별세법을 신설하여 감면분 중 일부를 농어촌특별세로 부과징수하면서, 동법 시행 이후 양도된 분에 대하여 곧바로 적용하기로 한 동법 .. (0) | 2021.09.24 |
위헌제청신청 기각결정을 받음이 없이 제기한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이 적법한가요?(判例) (0) | 2021.09.16 |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의 민주화’의 헌법적 의미는 어떠한가요?(判例)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