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제척기간
- 과태료
- 평등권
- 평등의 원칙
- 불법행위
- 보칙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피해의 최소성
- 평등원칙
- 재판의 전제성
- 재산권
- 목적의 정당성
- 산림자원법
- 양벌규정
- 자기관련성
- 죄형법정주의
- 민법 제103조
- 과잉금지의 원칙
- 벌칙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행복추구권
- 직업선택의 자유
- 신의칙
- 권리보호의 이익
- 수산업협동조합법
- 법익의 균형성
- 공권력의 행사
- 방법의 적절성
- 침해의 최소성
- 과잉금지원칙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부부 일방이 혼인 중에 부담한 제3자에 대한 채무가 청산대상이 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 判例 본문
***부부 일방이 혼인 중에 부담한 제3자에 대한 채무가 청산대상이 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 判例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9므4297 판결
[이혼및재산분할등][공2010상,925]
【판시사항】
[1] 재판상 이혼시의 재산분할에 있어 분할의 대상이 되는 재산과 그 액수 산정의 기준시기(=이혼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일)
[2] 부부 일방이 혼인 중에 부담한 제3자에 대한 채무가 청산대상이 되는 경우
[3] 재산분할의 대상이 되는 분양권 매도대금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인 ‘양도소득세 및 주민세’가 청산의 대상이 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재판상 이혼시의 재산분할에 있어 분할의 대상이 되는 재산과 그 액수는 이혼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여야 하므로, 법원은 변론종결일까지 기록에 나타난 객관적인 자료에 의하여 개개의 공동재산의 가액을 정하여야 한다.
[2] 부부 일방이 혼인 중 제3자에게 부담한 채무는 일상가사에 관한 것 이외에는 원칙적으로 그 개인의 채무로서 청산의 대상이 되지 않으나 그것이 공동재산의 형성에 수반하여 부담한 채무인 경우에는 청산의 대상이 된다.
[3] 재산분할의 대상이 되는 분양권 매도대금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인 ‘양도소득세 및 주민세’가 청산의 대상이 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839조의2 제2항 [2] 민법 제839조의2 제2항 [3] 민법 제839조의2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9. 22. 선고 99므906 판결(공2000하, 2225)
[2] 대법원 2002. 8. 28.자 2002스36 결정(공2002하, 2337)
대법원 2009. 6. 9.자 2008스111 결정(공2009하, 1440)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사건본인】 사건본인 1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11. 11. 선고 2009르1429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재산분할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재판상 이혼시의 재산분할에 있어 분할의 대상이 되는 재산과 그 액수는 이혼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일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여야 하므로, 법원은 변론종결일까지 기록에 나타난 객관적인 자료에 의하여 개개의 공동재산의 가액을 정하여야 한다(대법원 2000. 9. 22. 선고 99므906 판결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변론종결일 당시에 이 사건 방배동 주택 및 미아동 주택의 각 처분대금이 관련 채무 등의 변제에 모두 사용되고 남아 있지 아니하여 재산분할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부부 일방이 혼인 중 제3자에게 부담한 채무는 일상가사에 관한 것 이외에는 원칙적으로 그 개인의 채무로서 청산의 대상이 되지 않으나 그것이 공동재산의 형성에 수반하여 부담한 채무인 경우에는 청산의 대상이 된다(대법원 2002. 8. 28.자 2002스36 결정 등 참조).
원심이 인정한 사실과 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이 사건 분양권을 2009. 4. 30. 1,300,000,000원에 매도하고 그 무렵 그 대금을 지급받은 사실, 피고는 그 후 2009. 10.경 양도소득세 277,850,720원과 주민세 27,785,070원 합계 305,635,790원을 자진납부세액으로 신고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가 자진납부세액으로 신고한 위 305,635,790원의 양도소득세 및 주민세는 사실심 변론종결일 당시의 분할 대상 재산인 이 사건 분양권 매도대금의 형성에 있어 필수적으로 지출될 것이 예정되어 있는 비용으로서 소극재산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위 양도소득세 및 주민세를 청산의 대상인 소극재산으로 보지 아니한 원심판결에는 재산분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원심은 피고가 이 사건 분양권 매도대금으로 변제한 우리은행 신용카드대금은 일상가사에 관한 것이거나 공동재산의 형성에 수반하여 부담한 채무라고 보기 어려워 청산대상인 소극재산으로 보지 아니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앞에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재산분할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이상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9므4297 판결[이혼및재산분할등]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혼소송과 병합하여 재산분할청구를 하여 법원이 이혼과 동시에 재산분할을 명하는 경우, 가집행선고를 붙일 수 있나요? - 판례 (0) | 2019.06.30 |
---|---|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나요? - 判例 (0) | 2019.06.30 |
민법 제846조, 제847조 제1항에서 정한 친생부인의 소에서, ‘재혼한 처(처)’에게도 원고적격이 인정되나요? - 判例 (0) | 2019.06.30 |
법률상 타인의 친생자로 추정되는 자에 대하여 그 부로부터 친생부인의 소의 판결이 확정되기 전에도 타인이 인지를 할 수 있나요? - 判例 (0) | 2019.06.29 |
***조선민사령 제11조의2가 시행된 1940.2.11. 이후의 이성양자가 허용되나요? - 判例 (0) | 2019.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