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5-03 07:2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소년에 대한 형사사건의 심판 - 소년법(6)소년법 본문

형사법 이야기

소년에 대한 형사사건의 심판 - 소년법(6)소년법

법도사 2019. 7. 11. 08:39
반응형

***소년에 대한 형사사건의 심판 - 소년법(6)

 

소년법

일부개정 2018. 9. 18. [법률 제15757호, 시행 2018. 9. 18.] 법무부

출처 : 법제처

 

3장 형사사건<개정 2007.12.21.>

 

2절 심판<개정 2007.12.21>

 

56(조사의 위촉) 법원은 소년에 대한 형사사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도록 조사관에게 위촉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7.12.21]

 

57(심리의 분리) 소년에 대한 형사사건의 심리는 다른 피의사건과 관련된 경우에도 심리에 지장이 없으면 그 절차를 분리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07.12.21]

 

58(심리의 방침) 소년에 대한 형사사건의 심리는 친절하고 온화하게 하여야 한다.

1항의 심리에는 소년의 심신상태, 품행, 경력, 가정상황, 그 밖의 환경 등에 대하여 정확한 사실을 밝힐 수 있도록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07.12.21]

 

59(사형 및 무기형의 완화) 죄를 범할 당시 18세 미만인 소년에 대하여 사형 또는 무기형(무기형)으로 처할 경우에는 15년의 유기징역으로 한다.[전문개정 2007.12.21]

 

60(부정기형) 소년이 법정형으로 장기 2년 이상의 유기형(유기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경우에는 그 형의 범위에서 장기와 단기를 정하여 선고한다. 다만, 장기는 10, 단기는 5년을 초과하지 못한다.

소년의 특성에 비추어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형을 감경할 수 있다.

형의 집행유예나 선고유예를 선고할 때에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소년에 대한 부정기형을 집행하는 기관의 장은 형의 단기가 지난 소년범의 행형(행형) 성적이 양호하고 교정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관할 검찰청 검사의 지휘에 따라 그 형의 집행을 종료시킬 수 있다.

<개정 2018.9.18>[전문개정 2007.12.21]

 

61(미결구금일수의 산입) 18조제1항제3호의 조치가 있었을 때에는 그 위탁기간은 형법57조제1항의 판결선고 전 구금일수(구금일수)로 본다.[전문개정 2007.12.21]

 

62(환형처분의 금지) 18세 미만인 소년에게는 형법70조에 따른 유치선고를 하지 못한다. 다만, 판결선고 전 구속되었거나 제18조제1항제3호의 조치가 있었을 때에는 그 구속 또는 위탁의 기간에 해당하는 기간은 노역장(노역장)에 유치된 것으로 보아 형법57조를 적용할 수 있다.[전문개정 2007.12.21]

 

63(징역금고의 집행) 징역 또는 금고를 선고받은 소년에 대하여는 특별히 설치된 교도소 또는 일반 교도소 안에 특별히 분리된 장소에서 그 형을 집행한다. 다만, 소년이 형의 집행 중에 23세가 되면 일반 교도소에서 집행할 수 있다.[전문개정 2007.12.21]

 

64(보호처분과 형의 집행) 보호처분이 계속 중일 때에 징역, 금고 또는 구류를 선고받은 소년에 대하여는 먼저 그 형을 집행한다.[전문개정 2007.12.21]

 

65(가석방) 징역 또는 금고를 선고받은 소년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간이 지나면 가석방(가석방)을 허가할 수 있다.

1. 무기형의 경우에는 5

2. 15년 유기형의 경우에는 3

3. 부정기형의 경우에는 단기의 3분의 1[전문개정 2007.12.21]

 

66(가석방 기간의 종료) 징역 또는 금고를 선고받은 소년이 가석방된 후 그 처분이 취소되지 아니하고 가석방 전에 집행을 받은 기간과 같은 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형의 집행을 종료한 것으로 한다. 다만, 59조의 형기(형기) 또는 제60조제1항에 따른 장기의 기간이 먼저 지난 경우에는 그 때에 형의 집행을 종료한 것으로 한다.[전문개정 2007.12.21]

 

67(자격에 관한 법령의 적용) 소년이었을 때 범한 죄에 의하여 형의 선고 등을 받은 자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경우 자격에 관한 법령을 적용할 때 장래에 향하여 형의 선고를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개정 2018.9.18>

1. 형을 선고받은 자가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받은 경우

2. 형의 선고유예나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경우

1항에도 불구하고 형의 선고유예가 실효되거나 집행유예가 실효취소된 때에는 그 때에 형을 선고받은 것으로 본다.<신설 2018.9.18>[전문개정 2007.12.21]

[2018. 9. 18. 법률 제15757호에 의하여 2018. 1. 25.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된 이 조를 개정함.]

 

 

3장의2 비행 예방<신설 2007.12.21>

 

67조의2(비행 예방정책) 법무부장관은 제4조제1항에 해당하는 자(이하 "비행소년"이라 한다)가 건전하게 성장하도록 돕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 비행소년이 건전하게 성장하도록 돕기 위한 조사연구교육홍보 및 관련 정책의 수립시행

2. 비행소년의 선도교육과 관련된 중앙행정기관공공기관 및 사회단체와의 협조체계의 구축 및 운영

[본조신설 2007.12.21]

 

(출처 : 소년법 일부개정 2018. 9. 18. [법률 제15757호, 시행 2018. 9. 18.] 법무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소년법 3장 형사사건2절 심판3장의2 비행 예방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