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2-13 00:12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정신건강증진시설의 개설ㆍ설치 및 운영 등 - 정신건강복지법(3) 본문

노동법·사회법

정신건강증진시설의 개설ㆍ설치 및 운영 등 - 정신건강복지법(3)

법도사 2019. 7. 18. 02:36
반응형

***정신건강증진시설의 개설ㆍ설치 및 운영 등 - 정신건강복지법(3)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 정신건강복지법)

일부개정 2019. 1. 15. [법률 제16261호, 시행 2019. 7. 16.] 보건복지부

출처 : 법제처

 

3장 정신건강증진시설의 개설설치 및 운영 등

 

19(정신의료기관의 개설운영 등) 정신의료기관의 개설은 의료법에 따른다. 이 경우 의료법36조에도 불구하고 정신의료기관의 시설장비의 기준과 의료인 등 종사자의 수자격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정신의료기관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따로 정한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로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또는 그 사람이 대표자로 있는 법인은 정신의료기관을 개설하거나 설치할 수 없다.

1. 41조제2, 42조제2항 본문, 43조제79항 본문, 47조제4항 또는 제62조제1항 후단을 위반하여 정신질환자를 퇴원이나 임시 퇴원을 시키지 아니한 행위

2. 68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대면(대면) 진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을 시키거나 입원의 기간을 연장한 행위

보건복지부장관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역별 병상 수급 현황 등을 고려하여 정신의료기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그 정신의료기관의 규모를 제한할 수 있다.

1. 300병상 이상의 정신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경우

2. 정신의료기관의 병상 수를 300병상 미만에서 기존의 병상 수를 포함하여 300병상 이상으로 증설하려는 경우

3. 300병상 이상의 정신의료기관을 운영하는 자가 병상 수를 증설하려는 경우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의료기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년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하여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1. 1항 후단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 시설장비의 기준과 의료인 등 종사자의 수자격에 미달하게 된 경우

2. 41조제2, 42조제2항 본문, 43조제79항 본문, 47조제4항 또는 제62조제1항 후단을 위반하여 정신질환자를 퇴원이나 임시 퇴원을 시키지 아니한 경우

3. 59조제1항제1호부터 제6호까지(61조제2항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제66조제4항에 따른 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

4. 정당한 사유 없이 제66조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를 하는 경우, 관계 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의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 또는 관계 공무원의 검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하는 경우나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관계 공무원과 정신건강심의위원회 위원의 심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경우

5. 68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대면 진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신질환자를 입원시키거나 입원 기간을 연장한 경우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의료기관이 제4항의 시정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1년의 범위에서 사업의 정지를 명령하거나 개설허가의 취소 또는 시설의 폐쇄를 명령할 수 있다.

4항 및 제5항에 따른 행정처분의 세부적인 기준은 그 위반행위의 유형과 위반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정신의료기관에 관하여는 이 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의료법에 따른다.

 

20(과징금처분)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의료기관이 제19조제5항에 해당하여 사업의 정지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로서 그 사업의 정지가 이용자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사업의 정지 처분을 갈음하여 1억 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개정 2019.1.15>

1항에 따른 과징금을 부과하는 위반행위의 유형 및 위반 정도 등에 따른 과징금의 금액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항에 따른 과징금을 내야 할 자가 납부기한까지 과징금을 내지 아니하면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징수한다.

 

21(국립공립 정신병원의 설치 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립 또는 공립의 정신의료기관으로서 정신병원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정신병원을 설치하는 경우 그 병원이 지역적으로 균형 있게 분포되도록 하여야 하며,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관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정신병원은 제12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고 정신건강증진사업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을 담당한다.

 

22(정신요양시설의 설치운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정신요양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②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이하 "사회복지법인"이라 한다)과 그 밖의 비영리법인이 정신요양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정신요양시설 소재지 관할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로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또는 그 사람이 대표자로 있는 법인은 정신요양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

1. 41조제2, 42조제2항 본문, 43조제79항 본문, 47조제4항을 위반하여 정신질환자를 퇴소나 임시 퇴소를 시키지 아니한 행위

2. 68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대면 진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신질환자를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거나 입소의 기간을 연장한 행위

2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가 허가받은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입소 정원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제4항 본문에 따른 신고를 받은 경우 그 내용을 검토하여 이 법에 적합하면 신고를 수리하여야 한다.<신설 2019.1.15>

보건복지부장관, 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요양시설의 장에게 정신질환자의 요양생활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지역주민사회단체언론사 등이 정신요양시설의 운영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그 시설의 개방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신요양시설의 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개정 2019.1.15>

정신요양시설의 설치기준수용인원, 종사자의 수자격 및 정신요양시설의 이용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19.1.15>

 

23(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자문) 정신요양시설의 장은 정신요양시설에서 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의료와 관련된 부분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에게 자문하여야 한다.

 

24(정신요양시설의 폐지휴지재개 신고) 정신요양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가 그 시설을 폐지휴지(휴지)하거나 재개(재개)하려는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미리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그 내용을 검토하여 이 법에 적합하면 신고를 수리하여야 한다.<개정 2019.1.15>

 

25(정신요양시설 사업의 정지, 설치허가 취소 등)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요양시설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년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하여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개정 2019.1.15>

1. 22조제4항을 위반하여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한 경우

2. 22조제7항에 따른 설치기준, 수용인원, 종사자의 수자격 또는 이용운영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경우

3. 41조제2, 42조제2항 본문, 43조제79항 본문, 47조제4항을 위반하여 정신질환자를 퇴소 또는 임시 퇴소를 시키지 아니한 경우

4. 59조제1항제1호부터 제6호까지(61조제2항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제66조제4항에 따른 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

5. 정당한 사유 없이 제66조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를 하는 경우, 관계 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의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 또는 관계 공무원의 검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하는 경우나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관계 공무원과 정신건강심의위원회 위원의 심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경우

6. 68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대면 진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신질환자를 입소시키거나 입소 기간을 연장한 경우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요양시설이 제1항의 시정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1개월의 범위에서의 사업의 정지 또는 정신요양시설의 장의 교체를 명령하거나 설치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요양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의 설립허가가 취소되거나 법인이 해산된 경우에는 설치허가를 취소하여야 한다.

1항 및 제2항에 따른 행정처분의 세부적인 기준은 그 위반행위의 유형과 위반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정신요양시설에 관하여는 이 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다.

 

26(정신재활시설의 설치운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정신재활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정신재활시설을 설치운영하려면 해당 정신재활시설 소재지 관할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신고한 사항 중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을 변경할 때에도 신고하여야 한다.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제2항에 따른 신고를 받은 경우 그 내용을 검토하여 이 법에 적합하면 신고를 수리하여야 한다.<신설 2019.1.15>

정신재활시설의 시설기준, 수용인원, 종사자 수자격, 설치운영신고, 변경신고 및 정신재활시설의 이용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19.1.15>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필요한 경우 정신재활시설을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에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19.1.15>

4항에 따른 위탁운영의 기준기간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9.1.15>

 

27(정신재활시설의 종류) 정신재활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생활시설: 정신질환자등이 생활할 수 있도록 주로 의식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2. 재활훈련시설: 정신질환자등이 지역사회에서 직업활동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주로 상담교육취업여가문화사회참여 등 각종 재활활동을 지원하는 시설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1항 각 호에 따른 정신재활시설의 구체적인 종류와 사업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28(정신재활시설의 폐지휴지재개신고) 26조제2항에 따라 정신재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가 그 시설을 폐지휴지하거나 재개하려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미리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그 내용을 검토하여 이 법에 적합하면 신고를 수리하여야 한다.<개정 2019.1.15>

 

29(정신재활시설의 폐쇄 등)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재활시설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년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하여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개정 2019.1.15>

1. 26조제2항 후단에 따른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2. 26조제4항에 따른 정신재활시설의 시설기준, 수용인원, 종사자 수자격, 설치운영신고, 변경신고 또는 이용운영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경우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재활시설이 제1항의 시정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1년의 범위에서의 사업의 정지 또는 정신재활시설의 폐쇄를 명령할 수 있다.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정신재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의 설립허가가 취소되거나 법인이 해산된 경우에는 시설의 폐쇄를 명하여야 한다.

 

30(기록보존)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기록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진료기록부 등에 작성보존하여야 한다.

1. 입원 등 당시의 대면 진단 내용

2. 41조제3항 및 제42조제4항에 따른 퇴원 등의 의사 확인

3. 42조제2항에 따른 퇴원 등의 신청 일시 및 퇴원 등의 거부 사유

4. 43조제6항에 따른 입원등의 기간 연장에 대한 심사 청구 및 결과

5. 투약 등의 치료 내용을 적은 진료기록

6. 73조에 따른 특수치료에 관한 협의체의 회의 내용

7. 74조에 따른 통신과 면회의 자유 제한의 사유 및 내용

8. 75조에 따른 격리시키거나 묶는 등의 신체적 제한의 사유 및 내용

9. 76조에 따른 작업요법의 내용 및 결과

10. 그 밖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은 입원 등을 한 사람이 제1항에 따른 기록의 열람사본발급 등 그 내용확인을 요구하면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은 의료법21조에도 불구하고 보호의무자가 입원 등을 한 사람의 동의서와 보호의무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고 제1항에 따른 기록의 열람사본발급 등 그 내용확인을 요구하면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다만, 입원 등을 한 사람이 사망하거나 의사능력이 미흡하여 보호의무자가 입원 등을 한 사람의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서류로 그 동의서를 갈음할 수 있다.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은 제3항에도 불구하고 입원 등을 한 사람에게 해가 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제3항에 따른 보호의무자의 요구에 따르지 아니할 수 있다.

 

31(정신건강증진시설의 평가) 보건복지부장관은 정기적으로 정신건강증진시설에 대한 평가(이하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라 한다)를 하여야 한다. 다만, 의료법58조에 따른 의료기관 인증 또는 사회복지사업법43조의2에 따른 사회복지시설평가로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를 갈음할 수 있다.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를 받아야 한다.

보건복지부장관은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에 관한 업무를 관계 전문기관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장관은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의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보건복지부장관은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 결과가 우수한 정신건강증진시설에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의 주기범위절차, 정신건강증진시설평가 업무의 위탁, 평가결과의 공표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32(청문) 보건복지부장관,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다음 각 호의 행정처분을 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

1. 17조제5항에 따른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자격취소

2. 19조제5항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 개설허가의 취소 또는 시설 폐쇄명령

3. 25조제2항에 따른 정신요양시설의 설치허가의 취소

4. 29조제2항에 따른 정신재활시설의 폐쇄명령

5. 70조제4항에 따른 인권교육기관의 지정 취소

 

(출처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19. 1. 15. [법률 제16261호, 시행 2019. 7. 16.] 보건복지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3장 정신건강증진시설의 개설설치 및 운영 등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