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5-05 00:0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임대사업자 및 주택임대관리업자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2) 본문

생활과 안전 관련법

임대사업자 및 주택임대관리업자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2)

법도사 2019. 12. 18. 21:45
반응형

***임대사업자 및 주택임대관리업자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2)

 

 자기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을 하는 주택임대관리업자는 임대인 및 임차인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보증상품에 가입하여야 합니다!!!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약칭 : 민간임대주택법)

일부개정 2019. 4. 23. [법률 제16386호, 시행 2019. 10. 24.] 국토교통부

출처 : 법제처

 

2장 임대사업자 및 주택임대관리업자

 

5(임대사업자의 등록) 주택을 임대하려는 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구청장은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하며, 이하 "시장군수구청장"이라 한다)에게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1항에 따라 등록하는 경우 다음 각 호에 따라 구분하여야 한다.<개정 2018.1.16>

1. 삭제 <2018.1.16>

2. 민간건설임대주택 및 민간매입임대주택

3.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및 단기민간임대주택

1항에 따라 등록한 자가 그 등록한 사항을 변경하거나 말소하고자 할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임대주택 면적을 10퍼센트 이하의 범위에서 증축하는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은 신고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등록 및 신고의 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6(임대사업자 등록의 말소) 시장군수구청장은 임대사업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등록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말소할 수 있다. 다만, 1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등록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말소하여야 한다.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경우

2. 임대사업자가 제5조에 따라 등록한 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기간 안에 민간임대주택을 취득하지 아니하는 경우

3. 5조제1항에 따라 등록한 날부터 1개월이 경과하기 전 또는 제43조의 임대의무기간이 경과한 후 등록 말소를 신청하는 경우

4. 5조제4항의 등록기준을 갖추지 못한 경우. 다만, 일시적으로 등록기준에 미달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43조제2항에 따라 민간임대주택을 양도한 경우

6. 43조제4항에 따라 민간임대주택을 양도한 경우

7. 44조에 따른 임대조건을 위반한 경우

8. 45조를 위반하여 임대차계약을 해제해지하거나 재계약을 거절한 경우

9. 50조의 준주택에 대한 용도제한을 위반한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항에 따라 등록을 말소하는 경우 청문을 하여야 한다. 다만, 1항제3, 5호 및 제6호의 경우는 제외한다.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항에 따라 등록을 말소하면 해당 임대사업자의 명칭과 말소 사유 등 필요한 사항을 공고하여야 한다.

임대사업자가 제1항제3호에 따라 등록말소를 신청하거나 제2항에 따른 청문 통보를 받은 경우 7일 이내에 그 사실을 임차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1항 각 호(5호는 제외한다)에 따라 등록이 말소된 경우에는 그 임대사업자(해당 주택을 양도한 경우에는 그 양수한 자를 말한다)를 이미 체결된 임대차계약의 기간이 끝날 때까지 임차인에 대한 관계에서 이 법에 따른 임대사업자로 본다.

 

7(주택임대관리업의 등록) 주택임대관리업을 하려는 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할 수 있다. 다만, 100호 이상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으로 주택임대관리업을 하려는 자[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4조제1항에 따른 공공기관(이하 "공공기관"이라 한다), 지방공기업법49조제1항에 따라 설립된 지방공사(이하 "지방공사"라 한다)는 제외한다]는 등록하여야 한다.

1항에 따라 등록하는 경우에는 자기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과 위탁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을 구분하여 등록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자기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을 등록한 경우에는 위탁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도 등록한 것으로 본다.

1항에 따라 등록한 자가 등록한 사항을 변경하거나 말소하고자 할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금의 증가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은 신고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1항부터 제3항까지의 등록 및 신고의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8(주택임대관리업의 등록기준) 7조에 따라 등록을 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1. 자본금(법인이 아닌 경우 자산평가액을 말한다)1억 원 이상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 이상일 것

2. 주택관리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문인력을 보유할 것

3. 사무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보유할 것

 

제9조(주택임대관리업의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주택임대관리업의 등록을 할 수 없다. 법인의 경우 그 임원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 있을 때에도 또한 같다.<개정 2016.1.19>

1.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2.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3. 10조에 따라 주택임대관리업의 등록이 말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이 경우 등록이 말소된 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말소 당시의 원인이 된 행위를 한 사람과 대표자를 포함한다.

4. 이 법, 주택법, 공공주택 특별법또는 공동주택관리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집행이 종료(집행이 종료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되거나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5. 이 법, 주택법, 공공주택 특별법또는 공동주택관리법을 위반하여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

 

10(주택임대관리업의 등록말소 등) 시장군수구청장은 주택임대관리업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 등록을 말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만, 1, 2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등록을 말소하여야 한다.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경우

2. 영업정지기간 중에 주택임대관리업을 영위한 경우 또는 최근 3년간 2회 이상의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자로서 그 정지처분을 받은 기간이 합산하여 12개월을 초과한 경우

3.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임대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을 잘못 관리하여 임대인 및 임차인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입힌 경우

4. 정당한 사유 없이 최종 위탁계약 종료일의 다음 날부터 1년 이상 위탁계약 실적이 없는 경우

5. 8조에 따른 등록기준을 갖추지 못한 경우. 다만, 일시적으로 등록기준에 미달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6. 16조제1항을 위반하여 다른 자에게 자기의 명의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이 법에서 정한 사업이나 업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그 등록증을 대여한 경우

7. 61조에 따른 보고, 자료의 제출 또는 검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은 주택임대관리업자가 제1항제3호부터 제5호까지 및 제7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영업정지를 갈음하여 1천만 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시장군수구청장은 주택임대관리업자가 제2항에 따라 부과받은 과징금을 기한까지 내지 아니하면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징수한다.

1항에 따른 등록말소 및 영업정지처분에 관한 기준과 제2항에 따른 과징금을 부과하는 위반행위의 종류 및 위반정도에 따른 과징금의 금액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1(주택임대관리업자의 업무 범위) 주택임대관리업자는 임대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임대차계약의 체결해제해지갱신 및 갱신거절 등

2. 임대료의 부과징수 등

3. 임차인의 입주 및 명도퇴거 등(공인중개사법2조제3호에 따른 중개업은 제외한다)

주택임대관리업자는 임대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에 대하여 부수적으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1. 시설물 유지보수개량 및 그 밖의 주택관리 업무

2. 그 밖에 임차인의 주거 편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

 

12(주택임대관리업자의 현황 신고) 주택임대관리업자는 분기마다 그 분기가 끝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자본금, 전문인력, 관리 호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신고받은 시장군수구청장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신고 및 보고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국토교통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정보를 제60조제1항에 따른 임대주택정보체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식에 따라 공개할 수 있다.

1. 1항 후단에 따라 보고받은 정보

2. 61조에 따라 보고받은 정보

 

13(수탁계약서 등) 주택임대관리업자는 제11조의 업무를 위탁받은 경우 위수탁계약서를 작성하여 주택의 소유자에게 교부하고 그 사본을 보관하여야 한다.

1항의 위수탁계약서에는 계약기간, 주택임대관리업자의 의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위수탁계약의 체결에 필요한 표준위수탁계약서를 작성하여 보급하고 활용하게 할 수 있다.

 

제14조(보증상품의 가입) 자기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을 하는 주택임대관리업자는 임대인 및 임차인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보증상품에 가입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보증상품의 종류와 가입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5(자기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자의 의무) 임대사업자인 임대인이 자기관리형 주택임대관리업자에게 임대관리를 위탁한 경우 주택임대관리업자는 위탁받은 범위에서 이 법에 따른 임대사업자의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7장의 적용에 있어서 주택임대관리업자를 임대사업자로 본다.

 

16(등록증 대여 등 금지) 주택임대관리업자는 다른 자에게 자기의 명의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이 법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그 등록증을 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택임대관리업자가 아닌 자는 주택임대관리업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출처 :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 2019. 4. 23. [법률 제16386호, 시행 2019. 10. 24.] 국토교통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2장 임대사업자 및 주택임대관리업자였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