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6-02 00:01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보칙, 벌칙 -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8, 마지막) 본문

보건복지관련법

보칙, 벌칙 -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8, 마지막)

법도사 2020. 12. 12. 12:15
반응형

***보칙, 벌칙 -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8, 마지막)

 

 국가보훈처장은 특수임무유공자가 이 법 또는 이 법에 따른 명령을 위반하거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품위손상행위를 한 경우에는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3년 이내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하여 이 법 및 다른 법률에 따라 그가 받을 수 있는 예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지 아니합니다.

 

 국가보훈처장은 특수임무유공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죄를 범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경우에는 그 확정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선고받은 실형의 기간 동안 그가 받을 예우를 하지 아니합니다(79).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약칭 : 특수임무유공자법)

타법개정 2019. 12. 31. [법률 제16851호, 시행 2020. 1. 1.] 국가보훈처

출처 : 법제처

 

8장 보칙<개정 2008.3.28>

 

77(학습보조비 등의 환수) 국가보훈처장은 이 법에 따라 예우를 받은 사람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가 받은 학습보조비(15조 및 제15조의2에 따라 보조받은 수업료 등을 포함한다), 29조에 따른 직업재활훈련비직업능력개발훈련비, 29조의2에 따른 능력개발 장려금지원비, 33조에 따른 의료지원비, 47조에 따른 보조금 및 제70조의2에 따른 요양지원에 대한 보조금을 환수하여야 한다.<개정 2009.1.30, 2011.8.4, 2015.12.22>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예우를 받은 경우

2. 예우를 받은 후 그 예우를 받게 된 사유가 소급하여 소멸된 경우

3. 잘못 지급된 경우

국가보훈처장은 제1항에 따라 환수하는 경우 학습보조비 등을 반환할 사람이 기간 이내에 반환하지 아니하면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다.<개정 2009.1.30>

국가보훈처장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학습보조비 등을 환수하거나 징수하는 경우에 반환하여야 할 사람이 행방불명이거나 재산이 없거나 그 밖의 불가피한 사유로 환수나 징수가 불가능하고 인정할 때에는 결손처분할 수 있다.

<개정 2009.1.30>[전문개정 2008.3.28]

 

78(반환의무의 면제) 국가보훈처장은 이 법에 따라 예우를 받은 사람이 제77조제1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그 예우를 받은 원인이 그에게 책임이 없는 사유로 인한 것이면 제77조에도 불구하고 그가 받은 학습보조비 등을 환수하지 아니할 수 있다.<개정 2009.1.30, 2011.8.4>

1항에 따라 환수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08.3.28]

 

제79조(예우의 정지) 국가보훈처장은 특수임무유공자가 이 법 또는 이 법에 따른 명령을 위반하거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품위손상행위를 한 경우에는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3년 이내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하여 이 법 및 다른 법률에 따라 그가 받을 수 있는 예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지 아니한다.<개정 2011.8.4>

국가보훈처장은 특수임무유공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죄를 범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경우에는 그 확정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선고받은 실형의 기간 동안 그가 받을 예우를 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1.8.4, 2015.12.22>[전문개정 2008.3.28][제목개정 2011.8.4]

 

80(이 법 적용대상으로부터의 배제) 국가보훈처장은 이 법을 적용받거나 적용받을 특수임무유공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고 이 법 및 다른 법률에 따라 특수임무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모든 예우를 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0.4.15, 2011.8.4, 2012.12.18, 2013.4.5, 2015.12.22, 2016.1.6, 2017.10.31, 2018.3.13>

1. 국가보안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자

2. 형법87조부터 제90조까지, 92조부터 제101조까지 또는 제103조를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확정된 자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범하여 금고 1년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자

.형법250조부터 제253조까지의 죄 또는 그 미수죄, 264조의 죄, 279조의 죄 또는 그 미수죄, 285조의 죄 또는 그 미수죄, 287조부터 제292조까지 및 제294조의 죄, 297, 297조의2, 298조부터 제301조까지, 301조의2, 302, 303조와 제305조의 죄, 332조의 죄(329조부터 제331조까지의 상습범으로 한정한다) 또는 그 미수죄, 333조부터 제336조까지의 죄 또는 그 미수죄, 337조부터 제339조까지의 죄 또는 제337338조 전단339조의 미수죄, 341조의 죄 또는 그 미수죄, 351(347, 347조의2, 348, 350, 350조의2의 상습범으로 한정한다)의 죄 또는 그 미수죄, 363조의 죄

. 법률 제13718호로 개정되기 전의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2조제1, 3조제3항 및 제6(2조제1항과 제3조제3항의 미수범으로 한정한다)의 죄

.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5, 5조의2, 5조의4 및 제5조의5의 죄

.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3조의 죄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3조부터 제10조까지 및 제15(3조부터 제9조까지의 미수범으로 한정한다)의 죄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7, 8, 11조부터 제16조까지 및 제17조제1항의 죄

4. 국가공무원법2조 및 지방공무원법2조에 따른 공무원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상적으로 공무에 종사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원으로서 재직기간 중 직무와 관련된 형법129조부터 제133조까지, 355조부터 제357조까지의 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2조 및 제3조의 죄를 범하여 금고 1년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사람

5. 상습적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품위손상행위를 한 자

국가보훈처장은 이 법을 적용받거나 적용받을 특수임무유공자의 유족이나 가족이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가 받을 수 있는 모든 보상을 하지 아니한다.<개정 2015.12.22>

국가보훈처장은 제1항에 따라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사람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그의 뉘우친 정도가 현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제6조에 따라 등록신청을 받아 이 법의 적용 대상자로 결정하여 예우를 할 수 있다. 다만, 1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다시 이 법의 적용 대상자로 결정하여 지원을 할 수 없다.

<개정 2009.1.30, 2011.8.4, 2015.12.22, 2016.5.29>

1.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부터 3년이 경과된 경우

2. 삭제 <2009.1.30>

3. 1호 외의 경우에는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날부터 2년이 경과된 경우

국가보훈처장은 제1항제1호 또는 제5호에 해당하는 사유로 특수임무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을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제3항에 따라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자를 이 법의 적용 대상자로 결정할 때에는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개정 2011.8.4, 2015.12.22, 2016.5.29>

국가보훈처장은 제79조제2항에 따라 예우를 정지하거나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이 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려는 경우에는 범죄경력자료 또는 교정시설 수용 정보를 관계 기관의 장에게 요청할 수 있다.

<개정 2011.8.4, 2015.12.22, 2017.10.31>[전문개정 2008.3.28]

 

80조의2(자료의 제공 요청 등) 국가보훈처장은 다음 각 호의 사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민등록정보, 가족관계등록사항, 재외국민등록사항, 군복무에 관한 자료, 국세지방세에 관한 자료, 소득재산에 관한 자료, 국민연금건강보험 등 각종 연금보험에 관한 자료, 출입국 정보 등을 관계 기관의 장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관계 기관의 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청에 따라야 한다.

1. 6조에 따른 특수임무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의 등록에 관한 사무

2. 7조에 따른 특수임무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의 변동신고에 관한 사무

3. 11조의41항에 따른 교육지원 대상 자격 확인을 위한 조사에 관한 사무

4. 15조제3항에 따른 사립인 대학 등에 대한 수업료 등의 보조에 관한 사무

5. 21조의22항 및 제30조제2항에 따른 취업지원 실시기관에 대한 채용 또는 고용 실태 확인에 관한 사무

6. 44조제2항에 따른 대부에 관한 사무

7. 48조제35항 및 제6항에 따른 담보제공 및 채권보전에 관한 사무

8. 53조에 따른 대부의 승계에 관한 사무

9. 70조의2에 따른 요양지원에 대한 보조에 관한 사무

10. 75조에 따른 주택의 우선 공급에 관한 사무

11. 77조에 따른 학습보조비 등의 환수 및 결손처분에 관한 사무

12. 79조에 따른 예우의 정지에 관한 사무

13. 80조에 따른 법 적용 대상으로부터의 배제에 관한 사무

국가보훈처장은 제1항에 따른 자료 또는 정보의 확인을 위하여 사회복지사업법6조의22항에 따른 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1항과 제2항에 따른 사무를 수행하거나 수행하였던 사람은 제1항에 따른 자료 또는 정보를 이 법에서 정한 목적 외의 용도로 조회사용하거나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 제공하거나 누설해서는 아니 된다.

1항에 따라 요청할 수 있는 자료 또는 정보의 구체적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본조신설 2017.10.31]

 

81(위임 및 위탁) 국가보훈처장은 이 법에 따른 권한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소속 기관의 장 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에게 위임하거나 다른 행정기관의 장에게 위탁할 수 있다.<개정 2015.12.22, 2017.10.31>

국가보훈처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습보조비 등의 지급에 관한 사무와 대부 업무 수행에 관한 사무를 체신관서 또는 은행법2조제1항제2호에 따른 은행에 위탁할 수 있다.

<개정 2009.1.30, 2010.5.17>[전문개정 2008.3.28]

 

9장 벌칙<개정 2008.3.28>

 

82(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5.12.22, 2017.10.31>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이 법에 따른 예우를 받거나 예우를 받게 한 사람

2. 11조의56(70조의22항 후단 및 제75조제3항 후단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금융정보 등을 사용제공 또는 누설한 사람

3. 80조의23항을 위반하여 자료 또는 정보를 조회사용제공 또는 누설한 사람

1항제1호의 미수범은 처벌한다.<개정 2015.12.22>[전문개정 2008.3.28]

 

83(과태료) 22조제3항에 따라 고용할 것을 명하였으나 정당한 사유 없이 이에 따르지 아니한 자에게는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개정 2009.1.30, 2018.6.12>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개정 2015.12.22>

1. 27조제2항에 따른 시정요구에 따르지 아니한 자

2. 30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자

3. 30조제2항에 따른 설명 요구에 따르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진술한 자 또는 자료의 제출을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

4. 55조를 위반하여 유사명칭을 사용한 자

1항 및 제2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보훈처장이 부과징수한다.

<신설 2009.1.30>[전문개정 2008.3.28]

 

84조 삭제 <2009.1.30>

 

(출처 :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타법개정 2019. 12. 31. [법률 제16851호, 시행 2020. 1. 1.] 국가보훈처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8장 보칙9장 벌칙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코로나19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최상의 찬사를 올립니다!!! 존경합니다!!! 거룩하십니다!!! 분명코 님들의 빛나는 헌신으로 인해 코로나19는 곧 대한민국에서 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은 님들의 노력을 헛되이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듯합니다.

 

 정말로 감사합니다!!! 대한민국만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