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과잉금지원칙
- 벌칙
- 피해의 최소성
- 행복추구권
- 죄형법정주의
- 보칙
- 침해의 최소성
- 산림자원법
- 양벌규정
- 법익의 균형성
- 민법 제103조
- 신의칙
- 과잉금지의 원칙
- 불법행위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평등원칙
- 과태료
- 자기관련성
- 평등권
- 평등의 원칙
- 방법의 적절성
- 공권력의 행사
- 목적의 정당성
- 재판의 전제성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권리보호의 이익
- 직업선택의 자유
- 수산업협동조합법
- 재산권
- 제척기간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민사소송법 제234조의2제1항 소정의 피고경정의 요건인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의 의미는 무엇인가요?(判例) 본문
***민사소송법 제234조의2제1항 소정의 피고경정의 요건인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의 의미는 무엇인가요?(判例)
대법원 1997. 10. 17.자 97마1632 결정
[피고경정신청][공1997.12.15.(48),3741]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234조의2제1항 소정의 피고경정의 요건인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의 의미
【결정요지】
민사소송법 제234조의2제1항 소정의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라고 함은 청구취지나 청구원인의 기재 내용 자체로 보아 원고가 법률적 평가를 그르치는 등의 이유로 피고의 지정이 잘못된 것이 명백하거나 법인격의 유무에 관하여 착오를 일으킨 것이 명백한 경우 등을 말하고, 피고로 되어야 할 자가 누구인지를 증거조사를 거쳐 사실을 인정하고 그 인정 사실에 터잡아 법률 판단을 해야 인정할 수 있는 경우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34조의2제1항
【전문】
【재항고인】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고법 1997. 6. 11.자 97라93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민사소송법 제234조의2제1항 본문은 "원고가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에는 제1심법원은 원고의 신청으로 피고의 경정을 허가할 수 있다."고 피고의 경정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는바, 위 규정에서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라고 함은 청구취지나 청구원인의 기재 내용 자체로 보아 원고가 법률적 평가를 그르치는 등의 이유로 피고의 지정이 잘못된 것이 명백하거나 법인격의 유무에 관하여 착오를 일으킨 것이 명백한 경우 등을 말한다 할 것이고, 이 사건과 같이 원고가 공사도급계약상의 수급인은 그 계약 명의인인 피고라고 하여 피고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다가 심리 도중 변론에서 피고측 답변이나 증거에 따라 이를 번복하여 수급인이 피고보조참가인이라고 하면서 피고경정을 구하는 경우에는 계약 명의인이 아닌 실제상의 수급인이 누구인지는 증거조사를 거쳐 사실을 인정하고, 그 인정 사실에 터잡아 법률 판단을 하여야 인정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위 법규정 소정의 '피고를 잘못 지정한 것이 명백한 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피고가 공시송달중인 상태에서 피고보조참가인이 자신이 수급인이라고 주장하였다 하여 달리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이 사건 피고경정신청은 이유 없으므로, 이를 배척한 원심결정은 정당하고, 거기에 재항고이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은 피고경정의 요건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사건 재항고는 나머지 재항고이유에 나아가 살펴볼 필요 없이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출처 : 대법원 1997. 10. 17.자 97마1632 결정 [피고경정신청] > 종합법률정보 판례)
Don't worry!!! Be happy!!!
'민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 관할법원 중 하나를 관할법원으로 하기로 약정한 후 채권양도 등의 사유로 외국적 요소가 있는 법률관계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도 위 약정의 효력이 미치나요?(判例) (0) | 2022.06.02 |
---|---|
총유재산에 관한 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의 소의 법적 성질은 어떠한가요?(判例) (0) | 2022.06.01 |
피고의 불출석에 인한 답변서의 진술간주가 응소 관할 사유가 될 수 있나요?(判例) (0) | 2022.05.31 |
심급을 한정하여 선정당사자의 자격을 부여하는 선정행위가 허용되나요?(判例) (0) | 2022.05.31 |
임차인들이 갑을 임대차계약상의 임대인이라고 주장하면서 각 보증금의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 그 임차인들은 선정당사자를 선정할 수 있나요?(判例)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