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2-13 00:12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이런 법도 있어야 하나요???!!! 본문

노동법·사회법

이런 법도 있어야 하나요???!!!

법도사 2019. 11. 16. 17:26
반응형

***이런 법도 있어야 하나요???!!!

 

 

이제 이런 법도 있습니다.

 

이 법 제15(교육활동 침해행위에 대한 조치)를 한번 보아 주세요.

 

안타깝지만 현실입니다.

 

도덕재무장 운동이 진실로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요?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약칭 : 교원지위법 )

일부개정 2019. 4. 23. [법률 제16331호, 시행 2019. 4. 23.] 교육부

출처 : 법제처

 

제1조(목적) 이 법은 교원에 대한 예우와 처우를 개선하고 신분보장과 교육활동에 대한 보호를 강화함으로써 교원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교육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개정 2016.2.3>[전문개정 2008.3.14]

 

제2조(교원에 대한 예우)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교원이 사회적으로 존경받고 높은 긍지와 사명감을 가지고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교원이 학생에 대한 교육과 지도를 할 때 그 권위를 존중받을 수 있도록 특별히 배려하여야 한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그가 주관하는 행사 등에서 교원을 우대하여야 한다.<개정 2016.2.3>

1항부터 제3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교원에 대한 예우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16.2.3>[전문개정 2008.3.14]

 

3(교원 보수의 우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교원의 보수를 특별히 우대하여야 한다.

② 「사립학교법2조에 따른 학교법인과 사립학교 경영자는 그가 설치경영하는 학교 교원의 보수를 국공립학교 교원의 보수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08.3.14]

 

제4조(교원의 불체포특권) 교원은 현행범인인 경우 외에는 소속 학교의 장의 동의 없이 학원 안에서 체포되지 아니한다.[전문개정 2008.3.14]

 

5(학교 안전사고로부터의 보호) 각급학교 교육시설의 설치관리 및 교육활동 중에 발생하는 사고로부터 교원과 학생을 보호함으로써 교원이 그 직무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안전공제회를 설립운영한다.

학교안전공제회에 관하여는 따로 법률로 정한다.[전문개정 2008.3.14]

 

6(교원의 신분보장 등) 교원은 형()의 선고, 징계처분 또는 법률로 정하는 사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그 의사에 반하여 휴직강임(강임) 또는 면직을 당하지 아니한다.

교원은 해당 학교의 운영과 관련하여 발생한 부패행위나 이에 준하는 행위 및 비리 사실 등을 관계 행정기관 또는 수사기관 등에 신고하거나 고발하는 행위로 인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징계조치 등 어떠한 신분상의 불이익이나 근무조건상의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전문개정 2008.3.14]

 

7(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설치) 각급학교 교원의 징계처분과 그 밖에 그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교육공무원법11조의44항 및 사립학교법53조의26항에 따른 교원에 대한 재임용 거부처분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 대한 소청심사(소청심사)를 하기 위하여 교육부에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이하 "심사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13.3.23, 2016.1.27>

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7명 이상 9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위원장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의 위원은 상임(상임)으로 한다.

심사위원회의 조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08.3.14]

 

8(위원의 자격과 임명) 심사위원회의 위원(위원장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중에서 교육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개정 2013.3.23>

1. 판사, 검사 또는 변호사의 직에 5년 이상 재직 중이거나 재직한 자

2. 교육 경력이 10년 이상인 교원 또는 교원이었던 자

3. 교육행정기관의 3급 이상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거나, 3급 이상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었던 자

4. 사립학교를 설치경영하는 법인의 임원이나 사립학교 경영자

5. 교육기본법15조제1항에 따라 중앙에 조직된 교원단체에서 추천하는 자

심사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1차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심사위원회의 위원장과 상임위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른 직무를 겸할 수 없다.

삭제 <2019.4.23>[전문개정 2008.3.14]

 

8조의2(위원의 결격사유 등)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심사위원회의 공무원이 아닌 위원이 될 수 없다.

1. 국가공무원법33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2. 정당법에 따른 정당의 당원

3.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시하는 선거에 후보자로 등록한 사람

공무원이 아닌 위원이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당연히 퇴직한다.[본조신설 2019.4.23]

 

8조의3(위원의 신분 보장) 심사위원회의 위원은 장기의 심신미약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가 아니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면직되지 아니한다.[본조신설 2019.4.23]

 

제8조의4(벌칙 적용에서 공무원 의제) 심사위원회의 공무원이 아닌 위원은 형법127조 및 제129조부터 제132조까지의 규정을 적용할 때에는 공무원으로 본다.[본조신설 2019.4.23]

 

9(소청심사의 청구 등) 교원이 징계처분과 그 밖에 그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에 대하여 불복할 때에는 그 처분이 있었던 것을 안 날부터 30일 이내에 심사위원회에 소청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심사청구인은 변호사를 대리인으로 선임(선임)할 수 있다.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파면해임면직처분을 하였을 때에는 그 처분에 대한 심사위원회의 최종 결정이 있을 때까지 후임자를 보충 발령하지 못한다. 다만, 1항의 기간 내에 소청심사청구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지난 후에 후임자를 보충 발령할 수 있다.[전문개정 2008.3.14]

 

10(소청심사 결정) 심사위원회는 소청심사청구를 접수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이에 대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 다만, 심사위원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면 그 의결로 30일을 연장할 수 있다.

심사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결정한다.<개정 2019.4.23>

1. 심사 청구가 부적법한 경우에는 그 청구를 각하(각하)한다.

2. 심사 청구가 이유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청구를 기각(기각)한다.

3.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을 구하는 심사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처분을 취소 또는 변경하거나 처분권자에게 그 처분을 취소 또는 변경할 것을 명한다.

4. 처분의 효력 유무 또는 존재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심사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처분의 효력 유무 또는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5. 위법 또는 부당한 거부처분이나 부작위에 대하여 의무 이행을 구하는 심사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청구에 따른 처분을 하거나 처분을 할 것을 명한다.

1항에 따른 심사위원회의 결정에 대하여 교원, 사립학교법2조에 따른 학교법인 또는 사립학교 경영자 등 당사자는 그 결정서를 송달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행정소송법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소청심사의 청구심사 및 결정 등 심사 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08.3.14]

 

10조의2(위원의 제척기피회피) 심사위원회의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소청사건의 심사결정에서 제척(제척)된다.

1. 위원 또는 그 배우자나 배우자이었던 사람이 해당 소청사건의 당사자가 된 경우

2. 위원이 해당 소청사건의 당사자 또는 당사자의 대리인과 친족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경우

3. 위원이 해당 소청사건에 관하여 증언이나 검정 또는 감정을 한 경우

4. 위원이 해당 소청사건에 관하여 당사자의 대리인으로서 관여하거나 관여하였던 경우

5. 위원이 해당 소청심사 청구의 대상이 된 처분에 관여한 경우

당사자는 심사위원회의 위원에게 심사결정의 공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기피신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사위원회는 결정으로 기피신청을 받아들일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2항에 따라 기피신청을 받은 위원은 기피신청에 대한 심사위원회의 의결에 참여하지 못한다.

심사위원회의 위원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스스로 그 소청사건의 심사결정에서 회피(회피)할 수 있다.[본조신설 2019.4.23]

 

10조의3(결정의 효력) 심사위원회의 결정은 처분권자를 기속한다.[본조신설 2019.4.23]

 

11(교원의 지위 향상을 위한 교섭협의) ① 「교육기본법15조제1항에 따른 교원단체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지위 향상을 위하여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 및 특별자치도(이하 ""라 한다) 교육감이나 교육부장관과 교섭협의한다.<개정 2013.3.23, 2016.2.3>

도 교육감(이하 "교육감"이라 한다)이나 교육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교섭협의에 성실히 응하여야 하며, 합의된 사항을 시행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2016.2.3>[전문개정 2008.3.14]

 

12(교섭협의 사항) 11조제1항에 따른 교섭협의는 교원의 처우 개선, 근무조건 및 복지후생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사항을 그 대상으로 한다. 다만, 교육과정과 교육기관 및 교육행정기관의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은 교섭협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전문개정 2008.3.14]

 

13(교원지위향상심의회의 설치) 11조제1항에 따른 교섭협의 과정에서 당사자로부터 교섭협의 사항에 관한 심의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심의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시도에 각각 교원지위향상심의회를 두되 교육부는 7명 이내, 도는 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다만, 위원장을 제외한 위원의 2분의 1은 교원단체가 추천한 사람으로 한다.

<개정 2013.3.23, 2016.2.3>

교원지위향상심의회의 운영과 위원의 자격 및 선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8.3.14]

 

14(교원의 교육활동 보호)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의 공공단체는 교원이 교육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교원의 교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1. 15조제1항에 따른 교육활동 침해행위와 관련된 조사관리 및 교원의 보호조치

2. 교육활동과 관련된 분쟁의 조정 및 교원에 대한 법률 상담

3. 교원에 대한 민원 등의 조사관리

4. 그 밖에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2항에 따른 시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시책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본조신설 2016.2.3]

 

14조의2(법률지원단의 구성 및 운영) 15조제3항에 따른 관할청은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조제1호에 따른 학교폭력이 발생한 경우 또는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교원에게 법률 상담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호사 등 법률전문가가 포함된 법률지원단을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법률지원단의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교육부령 또는 시도의 교육규칙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9.4.16]

 

14조의3(특별휴가) 15조제1항에 따른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피해를 입은 교원은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본조신설 2019.4.16]

 

제15조(교육활동 침해행위에 대한 조치) 3항에 따른 관할청과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 및 중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이하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라 한다)의 장은 소속 학교의 학생 또는 그 보호자 등이 교육활동 중인 교원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이하 "교육활동 침해행위"라 한다)를 한 사실을 알게 된 경우에는 즉시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피해를 입은 교원의 치유와 교권 회복에 필요한 조치(이하 "보호조치"라 한다)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9.4.16>

1. 형법2편제25(상해와 폭행의 죄), 30(협박의 죄), 33(명예에 관한 죄) 또는 제42(손괴의 죄)에 해당하는 범죄 행위

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2조제1항에 따른 성폭력범죄 행위

3.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44조의71항에 따른 불법정보 유통 행위

4. 그 밖에 교육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행위로서 교육활동을 부당하게 간섭하거나 제한하는 행위

보호조치의 유형은 다음 각 호와 같다.<신설 2019.4.16>

1. 심리상담 및 조언

2. 치료 및 치료를 위한 요양

3. 그 밖에 치유와 교권 회복에 필요한 조치

1항에 따라 보호조치를 한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지체 없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지도감독기관(이하 "관할청"이라 한다)에 교육활동 침해행위의 내용과 보호조치 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개정 2019.4.16>

1. 국립의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교육부장관

2. 공립사립의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교육감

3항에 따라 보고받은 관할청은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피해를 입은 교원이 요청하는 경우 교육활동 침해행위가 관계 법률의 형사처벌규정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관할 수사기관에 고발하여야 한다.<신설 2019.4.16>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피해를 입은 교원의 보호조치에 필요한 비용은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한 학생의 보호자(친권자, 후견인 및 그 밖에 법률에 따라 학생을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등이 부담하여야 한다. 다만, 피해교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하여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피해를 입은 교원 또는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이 원하는 경우에는 관할청이 부담하고 이에 대한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신설 2019.4.16>

5항에 따른 보호조치 비용부담 및 구상권의 범위,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19.4.16>[본조신설 2016.2.3]

 

제16조(교육활동 침해행위의 축소ㆍ은폐 금지 등)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제15조제3항에 따른 보고를 할 때 교육활동 침해행위의 내용을 축소하거나 은폐해서는 아니 된다.<개정 2019.4.16>

관할청은 제15조제3항에 따라 보고받은 자료를 해당 학교 또는 해당 학교의 장에 대한 업무 평가 등에 부정적인 자료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개정 2019.4.16>[본조신설 2016.2.3]

 

16조의2(실태조사) 관할청은 교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교육활동 침해행위, 보호조치 및 제18조에 따른 조치 등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실태조사를 할 수 있다.

관할청은 제1항에 따른 실태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해당 학교의 장, 관련 기관 또는 단체 등에 관련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1항에 따른 실태조사의 내용, 범위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본조신설 2019.4.16]

 

16조의3(교육활동 침해행위 예방교육)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교직원학생학생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교육활동 침해행위 예방교육을 매년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 등을 전문단체 또는 전문가에게 위탁할 수 있다.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 계획을 교직원학생학생의 보호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그 밖에 다양한 방법으로 학부모에게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 밖에 교육활동 침해행위 예방교육의 실시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본조신설 2019.4.16]

 

17(교원치유지원센터의 지정 등) 관할청은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피해를 입은 교원의 정신적 피해에 대한 치유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문인력 및 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춘 기관 또는 단체를 교원치유지원센터로 지정할 수 있다.

관할청은 제1항에 따른 교원치유지원센터의 운영에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본조신설 2016.2.3]

 

제18조(교육활동 침해 학생에 대한 조치 등)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소속 학생이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한 경우에는 해당 학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할 수 있다. 다만, 퇴학처분은 의무교육과정에 있는 학생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개정 2019.4.16>

1. 학교에서의 봉사

2. 사회봉사

3. 학내외 전문가에 의한 특별교육 이수 또는 심리치료

4. 출석정지

5. 학급교체

6. 전학

7. 퇴학처분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제1항제6호에 따른 조치를 하기 전에 해당 학생이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17조제3항에 따라 교육감이 정한 기관에서 특별교육을 이수하거나 심리치료를 받도록 하여야 한다.

<신설 2019.4.16>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은 제1항제1, 2, 4호 및 제5호의 조치를 받은 학생이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17조제3항에 따라 교육감이 정한 기관에서 특별교육 또는 심리치료를 받게 할 수 있다.<신설 2019.4.16>

관할청은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특별교육 또는 심리치료에 해당 학생의 보호자도 참여하게 하여야 한다.<개정 2019.4.16>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이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할 때에는 해당 학생이나 보호자에게 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주는 등 적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신설 2019.4.16>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장이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할 때에는 제19조제2항에 따른 학교교권보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신설 2019.4.16>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한 학생이 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조치를 받은 경우 또는 제2항 및 제3항에 따른 특별교육 및 심리치료를 받은 경우 이와 관련된 결석은 학교의 장이 인정하는 때에는 이를 출석일수에 산입할 수 있다.<신설 2019.4.16>

1항제6호 및 제7호에 따른 조치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학생 또는 그 보호자는 그 조치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또는 그 조치가 있음을 안 날부터 10일 이내에 중등교육법18조의3에 따른 시도학생징계조정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심청구, 심사절차, 결정통보 등은 같은 법 제18조의22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신설 2019.4.16>

그 밖에 조치별 적용 기준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19.4.16>[본조신설 2016.2.3][제목개정 2019.4.16]

 

19(교권보호위원회의 설치운영)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시도 교육청에 교권보호위원회(이하 "도교권보호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1.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시책의 수립

2. 교원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다음 각 목의 분쟁 조정

. 2항에 따른 학교교권보호위원회에서 조정되지 아니한 분쟁의 조정

. 2항에 따른 학교교권보호위원회가 설치되지 아니한 유치원의 교원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분쟁의 조정

3. 그 밖에 교육감이 교권보호를 위하여 시도교권보호위원회의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유치원을 제외한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에 교권보호위원회(이하 "학교교권보호위원회"라 한다)를 두며, 유치원에는 유치원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교권보호위원회를 둘 수 있다.

1. 교육활동 침해 기준 마련 및 예방 대책 수립

2. 18조제1항 각 호에 따른 교육활동 침해 학생에 대한 조치

3. 교원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분쟁의 조정

4. 그 밖에 학교규칙으로 정하는 사항

그 밖에 시도교권보호위원회와 학교교권보호위원회의 설치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9.4.16][종전 제19조는 제20조로 이동 <2019.4.16>]

 

20(권한의 위임) 이 법에 따른 교육부장관의 권한은 그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교육감에게 위임할 수 있다.[본조신설 2016.2.3][19조에서 이동 <2019.4.16>]

 

21(과태료) 정당한 사유 없이 제18조제4항에 따른 특별교육 또는 심리치료에 참여하지 아니한 보호자에게는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청이 부과징수한다.[본조신설 2019.4.16]

 

(출처 :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 2019. 4. 23. [법률 제16331, 시행 2019. 4. 23.] 교육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전체 조문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