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1-01 00:1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쉬운 우리 법

계엄법 본문

헌법 이야기

계엄법

법도사 2021. 6. 27. 21:08
반응형

계엄법

타법개정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시행 2017. 7. 26.] 국방부

출처 : 법제처

 

1(목적) 이 법은 계엄(戒嚴)의 선포와 그 시행 및 해제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전문개정 2011.6.9]

 

2(계엄의 종류와 선포 등)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구분한다.

비상계엄은 대통령이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적과 교전(交戰) 상태에 있거나 사회질서가 극도로 교란(攪亂)되어 행정 및 사법(司法) 기능의 수행이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 군사상 필요에 따르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선포한다.

경비계엄은 대통령이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사회질서가 교란되어 일반 행정기관만으로는 치안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선포한다.

대통령은 계엄의 종류, 시행지역 또는 계엄사령관을 변경할 수 있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국방부장관 또는 행정안전부장관은 제2항 또는 제3항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에게 계엄의 선포를 건의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014.11.19, 2017.7.26>[전문개정 2011.6.9]

 

3(계엄 선포의 공고)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때에는 그 이유, 종류, 시행일시, 시행지역 및 계엄사령관을 공고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11.6.9]

 

4(계엄 선포의 통고)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通告)하여야 한다.

1항의 경우에 국회가 폐회 중일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 없이 국회에 집회(集會)를 요구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6.9]

 

5(계엄사령관의 임명 및 계엄사령부의 설치 등) 계엄사령관은 현역 장성급(將星級) 장교 중에서 국방부장관이 추천한 사람을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개정 2017.3.21>

계엄사령관의 계엄업무를 시행하기 위하여 계엄사령부를 둔다. 이 경우 계엄사령관은 계엄사령부의 장이 된다.

계엄사령관은 계엄지역이 2개 이상의 도(특별시, 광역시 및 특별자치도를 포함한다)에 걸치는 경우에는 그 직무를 보조할 지구계엄사령부(地區戒嚴司令部)와 지구계엄사령부의 직무를 보조하는 지역계엄사령부를 둘 수 있다.

계엄사령부의 직제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11.6.9]

 

6(계엄사령관에 대한 지휘감독) 계엄사령관은 계엄의 시행에 관하여 국방부장관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다만, 전국을 계엄지역으로 하는 경우와 대통령이 직접 지휘감독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대통령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1항에 따라 계엄사령관을 지휘감독할 때 국가 정책에 관계되는 사항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전문개정 2011.6.9]

 

7(계엄사령관의 관장사항) 비상계엄의 선포와 동시에 계엄사령관은 계엄지역의 모든 행정사무와 사법사무를 관장한다.

경비계엄의 선포와 동시에 계엄사령관은 계엄지역의 군사에 관한 행정사무와 사법사무를 관장한다.

[전문개정 2011.6.9]

 

8(계엄사령관의 지휘감독) 계엄지역의 행정기관(정보 및 보안 업무를 관장하는 기관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및 사법기관은 지체 없이 계엄사령관의 지휘감독을 받아야 한다.

계엄사령관이 계엄지역의 행정기관 및 사법기관을 지휘감독할 때 그 지역이 1개의 행정구역에 국한될 때에는 그 구역의 최고책임자를 통하여 하고,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해당될 때에는 해당 구역의 최고책임자 또는 주무부처의 장(법원의 경우에는 법원행정처장)을 통하여 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11.6.9]

 

9(계엄사령관의 특별조치권) 비상계엄지역에서 계엄사령관은 군사상 필요할 때에는 체포구금(拘禁)압수수색거주이전언론출판집회결사 또는 단체행동에 대하여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엄사령관은 그 조치내용을 미리 공고하여야 한다.

비상계엄지역에서 계엄사령관은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동원(動員) 또는 징발을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군수(軍需)로 제공할 물품의 조사등록과 반출금지를 명할 수 있다.

비상계엄지역에서 계엄사령관은 작전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국민의 재산을 파괴 또는 소각(燒却)할 수 있다.

계엄사령관이 제3항에 따라 국민의 재산을 파괴 또는 소각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그 사유, 지역, 대상 등 필요한 사항을 그 재산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행정기관과 그 재산의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6.9]

 

9조의2(재산의 파괴 또는 소각에 대한 보상) 9조제3항에 따라 발생한 손실에 대하여는 정당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 다만, 그 손실이 교전 상태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국방부장관은 미리 보상청구의 기간 및 절차 등 보상청구에 필요한 사항을 10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국방부장관은 보상금 지급결정을 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보상대상자에게 보상금 지급통지서를 송부하여야 한다.

관할 행정기관의 장은 재산의 파괴 또는 소각으로 인한 손실액을 판단하는 데에 필요한 조사서, 확인서, 사진 등 증명자료를 기록유지하여야 한다.

이 법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보상금 지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11.6.9]

 

9조의3(보상기준 등) 9조의21항에 따른 손실보상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금으로 지급하여야 한다.

손실액의 산정은 파괴 또는 소각으로 인하여 재산이 멸실될 당시의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한다.

2항에 따른 과세표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11.6.9]

 

9조의4(보상 제외) 파괴 또는 소각으로 인하여 멸실된 재산이 국유재산이거나 공유재산인 경우에는 제9조의21항에도 불구하고 보상을 하지 아니한다.[전문개정 2011.6.9]

 

9조의5(공탁) 국방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어 보상대상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할 수 없을 때에는 해당 보상금을 보상대상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방법원 또는 그 지원(支院)에 공탁(供託)하여야 한다.

1. 보상대상자가 보상금의 수령을 거부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내에 제9조의23항에 따른 보상금 지급통지서에 응답하지 아니한 경우

[전문개정 2011.6.9]

 

9조의6(보상청구권의 소멸시효) 보상청구권은 제9조의22항에 따른 공고기간 만료일부터 5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한다. 다만, 공고 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안 날부터 계산한다.[전문개정 2011.6.9]

 

10(비상계엄하의 군사법원 재판권) 비상계엄지역에서 제14조 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사람에 대한 재판은 군사법원이 한다. 다만, 계엄사령관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관할법원이 재판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15.1.6>

1. 내란(內亂)의 죄

2. 외환(外患)의 죄

3. 국교(國交)에 관한 죄

4. 공안(公安)을 해치는 죄

5. 폭발물에 관한 죄

6. 공무방해(公務妨害)에 관한 죄

7. 방화(放火)의 죄

8. 통화(通貨)에 관한 죄

9. 살인의 죄

10. 강도의 죄

11.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죄

12.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죄

13. 군사상 필요에 의하여 제정한 법령에 규정된 죄

비상계엄지역에 법원이 없거나 해당 관할법원과의 교통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모든 형사사건에 대한 재판은 군사법원이 한다.[전문개정 2011.6.9]

 

11(계엄의 해제) 대통령은 제2조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계엄 상황이 평상상태로 회복되거나 국회가 계엄의 해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계엄을 해제하고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대통령이 제1항에 따라 계엄을 해제하려는 경우에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국방부장관 또는 행정안전부장관은 제2조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계엄 상황이 평상상태로 회복된 경우에는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에게 계엄의 해제를 건의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014.11.19, 2017.7.26>[전문개정 2011.6.9]

 

12(행정사법 사무의 평상화) 계엄이 해제된 날부터 모든 행정사무와 사법사무는 평상상태로 복귀한다.

비상계엄 시행 중 제10조에 따라 군사법원에 계속(係屬) 중인 재판사건의 관할은 비상계엄 해제와 동시에 일반법원에 속한다. 다만,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군사법원의 재판권을 1개월의 범위에서 연기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6.9]

 

제13조(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계엄 시행 중 국회의원은 현행범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아니한다.[전문개정 2011.6.9]

 

14(벌칙)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이 법에 따른 보상금을 받은 자 또는 그 사실을 알면서 보상금을 지급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다만, 해당 보상금의 3배의 금액이 3천만 원을 초과할 때에는 그 초과 금액까지 벌금을 과()할 수 있다.

8조제1항에 따른 계엄사령관의 지시나 제9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계엄사령관의 조치에 따르지 아니하거나 이를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1항에 규정된 죄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1항의 징역형과 벌금형은 병과(竝科)할 수 있다.[전문개정 2011.6.9]

 

(출처 : 계엄법 타법개정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시행 2017. 7. 26.] 국방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