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평등권
- 양벌규정
- 재산권
- 불법행위
- 과태료
- 피해의 최소성
- 평등원칙
- 직업선택의 자유
- 제척기간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과잉금지의 원칙
- 법익의 균형성
- 수산업협동조합법
- 행복추구권
- 목적의 정당성
- 벌칙
- 공권력의 행사
- 재판의 전제성
- 과잉금지원칙
- 죄형법정주의
- 보칙
- 민법 제103조
- 권리보호의 이익
- 방법의 적절성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침해의 최소성
- 신의칙
- 자기관련성
- 산림자원법
- 평등의 원칙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 본문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
민법 제1조와 관련하여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에 관한 판례 하나를 소개합니다.
대법원 1983. 6. 14. 선고 80다3231 판결
[분묘이장][집31(3)민,31;공1983.8.1.(709),1072]
판시사항과 판결요지만 옮깁니다.
【판시사항】
가. 호주 아닌 가족의 사망의 경우 호주가 그 가족의 분묘에 관한 권리를 당연취득 하는지 여부
나.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의 차이
다.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의 주장입증책임
라. 사실인 관습의 효력범위
마. 가정의례준칙 제13조의 규정과 상치되는 관습법의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바. 가정의례준칙 제13조의 규정과 상치되는 사실인 관습의 효력인정 요건
【판결요지】
가. 민법 제996조의 규정은 호주 아닌 가족의 사망의 경우에는 그 적용이 없고, 호주라고 하여 그 가족이 사망하였을 경우에 그 가족의 제사상속인으로서 분묘 등에 관하여 당연히 그 권리가 귀속된다고 할 근거도 없다.
나. 관습법이란 사회의 거듭된 관행으로 생성한 사회생활규범이 사회의 법적 확신과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 승인·강행되기에 이르른 것을 말하고, 사실인 관습은 사회의 관행에 의하여 발생한 사회생활규범인 점에서 관습법과 같으나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서 승인된 정도에 이르지 않은 것을 말하는 바, 관습법은 바로 법원으로서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갖는 관습으로서 법령에 저촉되지 않는 한 법칙으로서의 효력이 있는 것이며, 이에 반하여 사실인 관습은 법령으로서의 효력이 없는 단순한 관행으로서 법률행위의 당사자의 의사를 보충함에 그치는 것이다.
다.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갖는 관습법은 당사자의 주장 입증을 기다림이 없이 법원이 직권으로 이를 확정하여야 하고 사실인 관습은 그 존재를 당사자가 주장 입증하여야 하나, 관습은 그 존부자체도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관습이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법적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까지 승인되었는지의 여부를 가리기는 더욱 어려운 일이므로, 법원이 이를 알 수 없는 경우 결국은 당사자가 이를 주장입증할 필요가 있다.
라. 사실인 관습은 사적 자치가 인정되는 분야 즉 그 분야의 제정법이 주로 임의규정일 경우에는 법률행위의 해석기준으로서 또는 의사를 보충하는 기능으로서 이를 재판의 자료로 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이외의 즉 그 분야의 제정법이 주로 강행규정일 경우에는 그 강행규정 자체에 결함이 있거나 강행규정 스스로가 관습에 따르도록 위임한 경우 등 이외에는 법적 효력을 부여할 수 없다.
마. 가족의례준칙 제13조의 규정과 배치되는 관습법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관습법의 제정법에 대한 열후적, 보충적 성격에 비추어 민법 제1조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다.
바. 가족의례준칙 제13조의 규정과 배치되는 사실인 관습의 효력을 인정하려면 그와 같은 관습을 인정할 수 있는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 관습이 사적 자치가 인정되는 임의규정에 관한 것인지 여부를 심리판단하여야 한다.
감사합니다!!!
'민법 간추려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 권한, 권능, 권원, 반사적 이익 (0) | 2019.02.13 |
---|---|
종중 구성원의 자격 - '공동선조와 성과 본을 같이 하는 후손은 성별의 구별 없이 성년이 되면 당연히 그 구성원이 된다.' (0) | 2019.02.13 |
민법 제1조 - 법원(法源) (0) | 2019.02.13 |
우리민법의 개정과정 - 총30회 개정(제정포함) (0) | 2019.02.12 |
민법(民法)의 법원(法源) (0) | 2019.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