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평등의 원칙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평등권
- 보칙
- 산림자원법
- 목적의 정당성
- 방법의 적절성
- 평등원칙
- 수산업협동조합법
- 직업선택의 자유
- 행복추구권
- 재판의 전제성
- 민법 제103조
- 과태료
- 제척기간
- 벌칙
- 과잉금지의 원칙
- 양벌규정
- 권리보호의 이익
- 신의칙
- 과잉금지원칙
- 자기관련성
- 공권력의 행사
- 재산권
- 침해의 최소성
- 피해의 최소성
- 법익의 균형성
- 죄형법정주의
- 불법행위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Today
- Total
쉬운 우리 법
유한회사 사원의 권리의무 - 상법(59) 본문
***유한회사 사원의 권리의무 - 상법(59)
상법
일부개정 2018. 9. 18. [법률 제15755호, 시행 2018. 12. 19.] 법무부
출처 : 법제처
제3편 회사
제5장 유한회사
제2절 사원의 권리의무
제553조(사원의 책임) 사원의 책임은 본법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 외에는 그 출자금액을 한도로 한다.
제554조(사원의 지분) 각 사원은 그 출자좌수에 따라 지분을 가진다.
제555조(지분에 관한 증권) 유한회사는 사원의 지분에 관하여 지시식 또는 무기명식의 증권을 발행하지 못한다.
제556조(지분의 양도) 사원은 그 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하거나 상속할 수 있다. 다만, 정관으로 지분의 양도를 제한할 수 있다.[전문개정 2011.4.14]
제557조(지분이전의 대항요건) 지분의 이전은 취득자의 성명, 주소와 그 목적이 되는 출자좌수를 사원명부에 기재하지 아니하면 이로써 회사와 제삼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제558조(지분의 공유) 제333조의 규정은 지분이 수인의 공유에 속하는 경우에 준용한다.
제559조(지분의 입질) ① 지분은 질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② 제556조와 제557조의 규정은 지분의 입질에 준용한다.
제560조(준용규정) ① 사원의 지분에 대하여는 제339조, 제340조제1항·제2항, 제341조의2, 제341조의3, 제342조 및 제343조제1항을 준용한다.<개정 2011.4.14>
② 제353조의 규정은 사원에 대한 통지 또는 최고에 준용한다.
(출처 : 상법 일부개정 2018. 9. 18. [법률 제15755호, 시행 2018. 12. 19.] 법무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상법 ‘제3편 회사’ 중 ‘제5장 유한회사’, ‘제2절 사원의 권리의무’였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대한민국만세!!!
'상법과 그 관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회사의 정관의 변경 - 상법(61) (0) | 2019.05.23 |
---|---|
유한회사의 관리 - 상법(60) (0) | 2019.05.23 |
유한회사의 설립 - 상법(58) (0) | 2019.05.22 |
‘법인의 등기사항에 관한 특례법’과 ‘법인 등의 등기사항에 관한 특례규칙’ - 전체 조문 (0) | 2019.05.22 |
보칙 - 상업등기규칙(21 - 마지막) (0) | 2019.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