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재산권
- 과잉금지원칙
- 과태료
- 수산업협동조합법
- 방법의 적절성
- 자기관련성
- 행복추구권
- 공권력의 행사
- 과잉금지의 원칙
- 죄형법정주의
- 제척기간
- 침해의 최소성
- 벌칙
- 직업선택의 자유
- 양벌규정
- 보칙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불법행위
- 피해의 최소성
- 평등원칙
- 평등권
- 산림자원법
- 법익의 균형성
-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
- 목적의 정당성
- 민법 제103조
- 신의칙
- 평등의 원칙
- 재판의 전제성
- 권리보호의 이익
- Today
- Total
목록2020/02/16 (3)
쉬운 우리 법
***사상여부를 알아보지도 않고 인근 파출소에다 신고도 하지 않은 교통사고 목격참고인의 진술이 신빙성이 있나요?(判例) 대법원 1983. 12. 27. 선고 83다카1389 판결 [손해배상][집31(6)민,149;공1984.3.1.(723) 319] 【판시사항】 가. 사상여부를 알아보지도 않고 인근 파출소에다 신고도 하지 않은 교통사고 목격참고인의 진술의 신빙성 나. 과실상계 여부판단의 사실심의 전권사항과 합리성 【판결요지】 가. 교통사고를 목격하였다는 참고인이 목격한 사고를 당일 숙박하던 장소와 그리 먼 거리에 있지 않는 파출소에 신고도 하지 않고 또 충돌로 밀려난 택시의 운전수의 사상여부도 알아보지 않은 채 밤을 새운 뒤 그 다음날 아침 7시경에 집주인에게 간밤에 큰 사고가 났다고 말했을 뿐이라고 한..
***배임적 대리행위에 대하여, 민법 제107조제1항 단서를 유추적용할 수 있나요?(判例)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8다13838 판결 [손해배상(기)][미간행] 【판시사항】 [1] 배임적 대리행위에 대한 민법 제107조제1항 단서의 유추적용 여부(적극) 및 상대방의 악의·과실 여부의 판단 기준 [2] 은행직원 갑이 회사를 인수하려는 을 측로부터 부정한 청탁과 함께 대가를 지급받기로 하고 인수대상 회사가 매입한 양도성예금증서의 보호예수계약을 체결한 후 그 증서를 을 측에 불법인출하여 줌으로써 을이 이를 담보로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인수자금으로 사용한 사안에서, 위 보호예수계약 체결의 의사표시는 갑 자신의 이익을 위한 배임적인 것이고, 그 계약 체결 당시 인수대상 회사의 자금관리·운용에 관..
***무권대리행위가 제3자의 위법행위로 야기된 경우, 그 책임이 부정되나요?(判例)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3다213038 판결 [손해배상][공2014상,700] 【판시사항】 무권대리인의 상대방에 대한 책임의 성질 및 무권대리행위가 제3자의 위법행위로 야기된 경우 책임이 부정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민법 제135조제1항은 “타인의 대리인으로 계약을 한 자가 그 대리권을 증명하지 못하고 또 본인의 추인을 얻지 못한 때에는 상대방의 선택에 좇아 계약의 이행 또는 손해배상의 책임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에 따른 무권대리인의 상대방에 대한 책임은 무과실책임으로서 대리권의 흠결에 관하여 대리인에게 과실 등의 귀책사유가 있어야만 인정되는 것이 아니고, 무권대리행위가 제3자의 기..